파종 시기
재배유형 |
재배지역 |
파종기 |
수확기 |
단작 |
전남․경남 |
5월 상순~5월 하순 |
8월 중순~9월 상순 |
그 외 |
5월 중순~6월 상순 |
8월 하순~9월 상순 |
2모작(맥후작) |
남부 |
맥류 수확 후 바로~6월 중순 |
9월 상순~9월 중순 |
파종량 : 0.3~0.6㎏/10a
복토 깊이 : 2~3㎝
주수 확보
- 종자소독 : 베노람·티람 수화제를 골고루 묻힘(종자1kg/4g)
- 유공 규격비닐 사용
- 소립 종자 입모율 향상을 위해 흙을 곱게 갈기
- 결주 20% 이상시 보파
- 결주 20% 미만시 보식
- 보식용으로 128구 트레이 이용 육묘상 설치(10a당 4~5㎡)
재식거리
- 소분지: 55 × 15㎝, 다분지: 55 × 20㎝
솎음작업
- 본엽이 2~4매(싹튼 후 약 2주)시 1본만 남기고 솎아 줌
순지르기 : 개화부위까지, 등숙 향상
- 첫꽃이 핀후 35~40일 사이(수확 20~25일전)
표준 시비량 (kg/10a)
구분 |
3요소량 |
퇴비 |
N |
P |
K |
단작 비닐피복 |
2.9 |
3.1 |
3.2 |
1,000~2,000 |
이모작 비닐피복 |
2.9 |
6.2 |
3.2 |
※ 참깨 전용복합비료(9-9-9) 30~35kg/10a, 석회 200kg/10a
※ 지역과 필지별 비옥도에 따라 조정
수확
- 적기 수확 : 아래부분 꼬투리가 2~3개 정도 갈라지기 시작할 때
재배환경
온도 : 지온이 20℃ 이상 되어야 재배 가능
- 지온 20℃ 내외가 파종 적기
- 생육적온은 25~27℃
- 전 생육기간 필요 적산온도는 2,700℃
일장 : 12시간 이하의 단일 조건에서 개화 촉진
- 파종 후 37~40일경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25~40일 동안 계속
수분 : 고온 건조한 지역에 잘 적응된 작물로 과습에 매우 약함
- 생육 기간 중 짧은 담수에서도 매우 민감하고 약하므로 배수가 중요
토양 : 양토~사질양토
- 토양 적응성 높지만 중정도의 비옥도에 배수가 잘 되는 토양
- 토양 산도는 pH5.5~8.0에서 큰 지장 없지만 중성일 때 가장 좋음
- 염해에 매우 약함
주요 재배 양식
단작 재배
- 가장 표준적이고 전국 어디서나 가능한 보편적인 재배 방법
- 경기, 강원 중북부까지도 일찍 수확하고 난 뒤 채소 재배 가능
논 이모작 재배
- (보리, 밀, 양파, 봄감자, 월동배추, 마늘) + 참깨
- 물빠짐이 좋은 논 선택, 배수로 정비, 이랑 높게 재배
- 파종 시기를 지키는 것이 중요, 6월 20일 이전에 파종 완료
생육 시기별 관리
생육시기별 예상되는 문제점
항 목 |
내 용 |
기상재해 가뭄 |
- 골에 부직포 등 엎기로 수분증발 억제
- 덮은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함
|
쓰러짐 |
- 줄지주 설치로 쓰러짐 방지
- 균형시비로 웃자람 방지
|
장마(습해) |
- 배수구 정비로 습해 사전 예방
- 습해로 인한 병 발생 식물체 조기 제거
|
병해방제 |
- 3년 1기 돌려짓기
- 비닐덮기 재배
- 발병 상습지역 재배시기 조정(장마기간 회피)
|
비닐덮기
- 5월 하순 이전 : 투명비닐 사용(한해 저항성 높임)
- 6월 상순 이후 : 흑색비닐 사용(고온장해 경감)
병해충 방제
작형 |
방제회수 |
방제시기 |
역병 |
잎마름병, 흰가루병 |
시들음병, 세균성점무늬병 |
1모작 |
1 차 |
6월 |
하 |
O |
- |
O |
2 차 |
7월 |
상 |
O |
O |
O |
3 차 |
중 |
O |
O |
O |
4 차 |
하 |
O |
O |
O |
5 차 |
8월 |
상 |
- |
O |
- |
2모작 |
1 차 |
7월 |
중 |
O |
O |
O |
2 차 |
하 |
O |
O |
O |
3 차 |
8월 |
상 |
O |
O |
O |
4 차 |
중 |
O |
O |
- |
5 차 |
하 |
- |
O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