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농사 - 들깨(종실)

생육과정(주요농작업)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직파재배]                                                                  
                                파종기               수확기              
[육묘이식재배]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파종량

  • 직파재배 : 0.3~0.5kg/10a
  • 육묘이식재배 : 묘판면적 70㎡/10a(128구 트레이)

육묘 상토

  • 원예용 상토(수도용 상토는 건조도가 높아 부적합)

재식거리 : 60×25㎝(1주 1본)

육묘 중 솎음 작업(20~30일간 육묘)

  • 1차 : 본엽 전개시 2포기 남김
  • 2차 : 1차 솎음 10일 후 1포기 남김

시비량 (kg/10a)

시비량
구분 3요소량 시비량
N P K 요소 용성인비 염화가리 석회 퇴비
밑거름 4 3 2 8.6 15 3.3 100 1,000

수확과 저장

  • 수확시기 : 개화기부터 조․중생종 32일, 만생종은 29일에 수확 가능
    • 줄기가 황변하고 종실이 탈립 되기 시작할 때
    • 흐린날 아침이나 저녁에 수확

생육환경

적정 생육환경

발아 적온 발아 최저온도 생육 적온 생육 최저온도 개화 한계일장
15~20℃ 10℃ 20~30℃ 5℃ 15시간

수분 : 내건성 강

토양 : 배수가 잘되는 사질 양토 또는 양토

  • 척박지, 산성토, 개간지, 인산 결핍 토양 등 불량환경에서도 다른 작물보다 재배 적응력이 높은 편
  • 지나치게 습하거나 비옥한 토양에서는 결실 불량 또는 지나친 영양생장으로 도장하기 쉬움

일장 : 전형적인 단일성 작물로서 일장에 예민하게 반응

  • 조생종 8월 상순, 중생종 9월 상순, 만생종 9월 하순경에 개화

주요 재배 형태

주요 재배 형태
재배 형태 재배 기간
파종 시기 수확 시기
직파재배 6월 중~하순 9월 중순~10월 중순
육묘이식재배 6월 상~중순 파종
(6월 하순∼7월 상순 정식)
9월 중순~10월 중순

생육 시기별 관리

생육 시기별 관리
항 목 내 용
초기가뭄
  • 강우직후 파종작업
  • 적정 입모수 확보를 위하여 이식후 물주기 작업
고온건조
  • 물주기 가능지역 물뿌려주기
  • 김매기를 겸한 겉흙 긁어주기
잦은강우
  • 배수구 정비로 사전습해 예방
  • 토양유실로 뿌리 노출지역 복토작업
병해
  • 녹병,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탄저병, 시들음병, 역병 등
    • 방제 : 저항성 품종, 종자소득, 발병 전· 후 적용약제
충해
  • 심식충, 진딧물, 응애류, 거세미나방, 잎말이명나방, 노린재류 등
    • 방제 : 저항성 품종, 종자소득, 적용약제 적기방제
생리장해
  • 조도 5Lux 이상일때 종실수확 곤란
    • 가로등 및 차량 불빛이 비치는 곳은 재배 지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