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량 : 7~9ℓ/10a
심는 거리
- 직립형 : 조생종 40×15cm, 만생종 50×15cm
- 덩굴성 : 75×30~40cm
시비량 (kg/10a)
시비량
3요소량 |
시비량 |
N |
P |
K |
요소 |
용성인비 |
염화가리 |
석회 |
퇴비 |
4 |
7 |
6 |
9 |
41 |
10 |
200 |
1,500 |
※ 지역과 필지별 비옥도에 따라 조정
※ 질소 고정능력이 약하므로 질소질비료 필히 시용
수확
- 수확적기: 꼬투리가 70~80% 마를 시
- 파종에서 풋강낭콩 수확까지 60일 정도
재배환경
재배 적온 : 10~25℃ (최적온도 15~21℃)
발아 최적온도 : 26~37℃(최저 10℃ 내외, 최고 38~42℃)
화분발아 최적온도 : 20~25℃(35℃ 이상은 극히 불량)
적정 토양 : 양토~사양토(pH 5.3~7.9)
주요 재배 형태
주요 재배 형태
재배 유형 |
적용 지역 |
파종기 |
정식기 |
수확기 |
촉성 |
남부지역 |
9월 상순~2월 상순 |
파종 후 15~25일 |
11월 하순~5월 상순 |
조숙 |
터널 |
도시근교 난지 |
3월 상중순 |
3월 하순 |
4월 하순~5월 하순 |
노지 |
도시근교 난지 |
3월 하순~4월 상순 |
4월 하순 |
5~6월 상순 |
일반(보통) |
전국 |
3월 하순~4월 하순 |
- |
6~7월 |
반고랭지 |
산간 고랭지 |
5~7월 |
- |
8~11월 |
난지억제 |
전국 |
7월 하순~8월 중순 |
- |
9~12월 |
주요 재배 관리
생육기간
- 조생종 : 90일 내외(키 작은 품종)
- 만생종 : 130일 내외
재배관리
- 솎기, 보식 : 발아후~복엽전개기, 1~2포기/주
- 김매기, 북주기 : 4엽기
- 덩굴성 품종 지주세우기 : 파종전(본엽 1~2개 나오는 시기 유인)
- 연작피해 심한 지역 : 3~4년 윤작, 선충, 탄저병, 균핵병 방제 철저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 목 |
내 용 |
초기 가뭄 |
- 비가 온 후 파종작업
- 골은 피복하여 수분 보존
- 적정 입모수 확보를 위하여 물주기 작업
|
고온건조 |
- 수정결실 조장을 위하여 골에 물주기 작업
※ 30℃ 이상 고온에서는 낙화, 낙협, 불임화분 증가. 꼬투리 길이가 짧아지고 꼬투리당 종자수 감소
|
잦은 강우 |
- 배수구 정비로 습해 사전 예방
- 지주를 설치하여 쓰러짐 방지
|
병해충 방제 |
- 3~4년 윤작
- 연작피해가 심한 지역은 선충, 탄저병, 균핵병 방제 철저
- 탄저병, 녹병, 각반병,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등은 개화 10일 전과 개화기 2회 방제
- 바이러스병은 매개충인 진짓물 방제
- 개화기에 콩나방, 노린재류 팥알락명나방 방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