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 - 수박

생육과정(주요농작업) - 촉성재배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모 기르기 아주심기 개화기 수확기                                         씨뿌림, 발아, 접목
      덩굴 신장기 과실비대, 성숙기                                                
생육과정(주요농작업) - 반촉성재배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발아, 모 기르기 아주심기     개화기     수확기                                   온상설치, 씨뿌림
        덩굴 신장기 과실비대, 성숙기                                        
생육과정(주요농작업) - 노지재배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씨뿌림, 모 기르기     개화기     수확기                        
                    아주심기                                            
                        덩굴 신장기   과실비대, 성숙기                          
기상재해 및 예상되는 문제점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저온 가뭄 장마                              
          설명 입력 가뭄 장마                              
          모기르기불량, 모잘록병발생, 아주심기 지연, 초기생육 불량, 습해, 병 다발생, 과실생리장해 발생                        
병충해 방제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모잘록병, 진딧물, 응애, 덩굴마름병, 탄저병, 바이러스

씨뿌림

  • 시기
    • 촉성재배 : 11월 하순~12월 하순
    • 반촉성재배 : 12월 하순~1월 상순
    • 노지재배 : 3월 하순~4월 하순

아주심기

  • 시기
    • 촉성재배 : 1월 하순~2월 상순
    • 반촉성재배 : 2월 상순~2월 하순
    • 노지재배 : 4월 하순~5월 하순
  • 주간거리 : 35~45×300cm
  • 심기주수 : 420~540주/동
  • 비닐덮기 및 터널설치

아주심기

  • 생육온도 : 생육적온(25~30℃, 생육최저온도 10℃),
                 발근온도(20~25℃), 개화·수정적온(20℃)
  • 개화~성숙 적산온도 : 800~1,000℃
  • 엽수와 열매 달리는 수(덩굴수/300평당, 1주 1과실)
    • 2~3월 수확 1,550본(촉성)
    • 5월 수확 1,700본(반촉성)
    • 6월 이후 수확(노지 등) 1,900~2,000본

접목 육묘

  • 대목(뿌리) : 박, 신토좌
  • 접목방법 : 맞접 또는 합접
  • 관리 : 온도 25~28℃, 습도 75~80%

관 리

  • 저온기 터널설치
  • 정지 및 유인
  • 식물체 생육에 알맞은 비료 주기 관리
  • 열과(터진열매), 일소과, 육질악변과, 황대과 방지

수박 과실의 성숙기 판정

수박 과실의 성숙기 판정
품 종 열매달림 후 일수 적산온도(℃)
소과종 35~38 750
조생종 38~40 800
중생종 40~45 1,000
만생종 40~45 1,200

비료주기 (kg/10a)

비료주기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회 2회 3회
퇴비 1,500 1,500 - - -
질소 20.0 8.0 4.0 4.0 4.0
인산 5.9 5.9 - - -
칼리 12.8 6.4 - 6.4 -
석회 200 200 - - -

재배적 특성

재배적 특성
학명 Citrullus lanatus MATSUM. & NAKAI 분류 박과
생육온도 발아적온 28~30℃ 모 기르기 적온 -
개화적온 15~20℃ 생육적온 25~30℃
뿌리비대적온 20℃ 저장적온 3~10℃
재배적지 토양산도는 pH 5.5~6.8이며, 토심이 깊은 사질양토
생리적특성
  • 호온성 작물로 고온에서 생육 양호
  • 개화에서 성숙까지의 적산온도 : 800~1,000℃
  • 건조에는 강하나 다습에는 약하여 피해 발생
  • 이어짓기를 싫어하는 작물로 반드시 돌려짓기를 해야 함
  • 덩굴쪼김병 방지 및 불량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높이기 위해 접목재배 실시
주요기술
  • 봄 조기재배 시 아주심기 전 두둑이랑 다지기 2회
    • 생산량 16% 증가, 착과율 및 당도 증가, 저온피해 경감
  • 조기재배 시 전열선을 두둑 및 보온터널 내 설치
    • 착과일수 2.5일 단축, 착과율 3.8% 향상, 저온피해 4.1% 경감

작형별 출하시기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씨뿌림 아주심기 수 확 기 성출하기
촉 성 재 배 11월 하순~12월 상순 1월 중순~1월 하순 3월 하순~4월 하순 3월 중순~4월 중순
반촉성재배 12월 하순~1월 상순 2월 상순~2월 히순 4월 하순~5월 하순 4월 중순~6월 중순
조 숙 재 배 2월 중순~3월 하순 3월 하순~5월 상순 6월 상순~7월 중순 5월 중순~7월 중순
억 제 재 배 7월 하순~8월 상순 8월 하순~9월 상순 11월 상순~12월 하순 11월 중순~12월 중순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변형과 방지
  • 열매솎기 및 과실 바로 세우기
과도한 덩굴신장
(과번무)
  • 질소질 거름 적정 시용
  • 거름이 너무 많거나 비가 자주 올 때 많이 발생
  • 열매달림 불량으로 영양생장이 너무 왕성할 때
속 빈과일
(공동과)
  • 꽃필 때 저온과 건조, 동화양분의 불균형
  • 꽃이 피고 열매 달릴 때 적온, 적습유지
  • 동화양분의 전류촉진, 원활한 양분 공급
급성 시듦증
  • 적절한 양, 수분 관리
  • 알맞은 초세 및 뿌리 활력 강하게 관리
  • 미숙퇴비 및 가축분뇨 다량 시용 금지
  • 연작지에서 박에 접목할 때 발생증가, 피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대목(뿌리) 교체 고려
과실 터짐
(열 과)
  • 비닐, 짚 덮기 재배 및 토양수분 적습유지
  • 과피가 너무 얇은 품종재배는 피함
  • 토양수분을 적습으로 유지
  • 열매가 햇빛을 직접 받지 않도록 가려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