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 - 상추

생육과정(주요농작업)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가을재배 ▶                          
                                      씨뿌림 아주심기 수확            
시설 봄재배 ▶                                                              
씨뿌림 아주심기 수확                                          
                        여름재배 ▶                         겨울재배 ▶        
                        씨뿌림   아주심기   수확             씨뿌림       수확  
수확                                                      
                  고랭지재배 ▶                                            
                  씨뿌림   아주심기   수확                          
기상재해 및 예상되는 문제점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혹한 병해 가뭄 장마, 고온, 호우. 및 태풍 해충 저온
언피해, 생육 불량 곰팡이병 생육불량 꽃대신장, 침수, 각종 병해충 발생 나방류 생육부진
병충해 방제
생육과정(주요농작업)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노균병, 균핵병, 회색곰팡이병, 무름병, 총채벌레, 잎굴파리, 나방류                            

씨뿌림

  • 씨앗량 : 0.4~0.6㎗/10a
  • 파종상 : 3.3㎡/10a (200공 플러그 모 기르기 시 40㎡/10a)

모기르기

  • 플러그트레이(128공, 200공) : 본잎 3~4매 시

모기르기

  • 시 기 : 본엽 3~5매(플러그 묘)
  • 이랑 너비 : 150~180cm
  • 포기 사이 : 20×20cm 내외
  • 10a 당 주수: 약 20,000주

관 리

  • 물주기 : 스프링롤러, 분수호스, 점적관수
  • 비료주기
    • 밑거름 50%(퇴비, 석회, 인산 100%),
    • 웃거름 10일 간격
  • 고온기 빛가림 : 30% 빛가림
  • 병해충 방제
    • 휴경기 담수 : 선충밀도 경감
    • 돌려짓기 및 유기물 시용
    • 농약방제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 수확 후 관리
    • 저온저장고 이용 : 0℃
    • 표준출하규격 지켜서 수확물 포장

비료주기 (kg/10a)

비료주기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회 2회 3회
퇴비 1,500 1,500 - - -
질소 7.0 3.5 1.5 1 1
인산 3.0 3.0 - - -
칼리 3.6 1.8 0.6 0.6 0.6
석회 200 200 - - -

* 노지재배 : 질소 20.0, 인산 5.9, 칼리 12.8, 퇴비 1,500, 석회 200kg

재배적 특성

재배적 특성
학명 Lactuca sativa L. 분류 국화과
생육온도 발아적온 15~20℃ 모 기르기 적온 18~20℃
생육적온 15~20℃ 최적지온 20℃
저장적온 0℃
재배적지 토양 산도는 pH 6.6~7.2로 5이하 산성토양에서 생육저하
생리적특성
  • 상추는 서늘한 기후에서 생장이 잘되는 호냉성 채소로 더위에는 약한 편
  • 생육기간 중 온도가 높아지면 꽃대신장, 쓴맛 증가, 생리적 장해 증가.
  • 꽃대신장은 적산온도 1,400~1700℃에서 나타남
주요기술
  • 염류농도 높은 지역 적품종 선택
    • 상추 품종군별 염류저항성은 적치마 > 청치마 > 청축면 ≒ 적축면 순으로 감소
  • 난지 지역 바닥덮기 후 부직포 막덮기, 물주기는 점적호스나 분수호스 이용, 수확 2~3일 전 벗겨서 착색시킴, 일시수확용 품종인 경우 유리
  • 시설상추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밤나방류 생물적방제 가능

작형별 출하시기

작형별 출하시기
작형 씨 뿌 림 아주심기 수 확 기 성출하기
시설 봄재배 1월 상순~2월 중순 2월 상순~3월 중순 3월 하순~5월 하순 4월 상순~5월 중순
여름재배 5월 상순~5월 중순 6월 상순~6월 중순 7월 상순~8월 상순 7월 중순~7월 하순
고랭지재배 4월 상순~4월 하순 5월 중순~5월 하순 6월 중순~8월 중순 6월 하순~7월 하순
가을재배 7월 하순~8월 상순 8월 중순~8월 하순 9월 중순~11월 상순 9월 중순~10월 하순
겨울재배 10월 중순~10월 하순 11월 하순~12월 상순 1월 상순~3월 하순 2월 하순~3월 상순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 목 내 용
봄가뭄
  • 흑색 PE필름 바닥덮기 및 물주기(스프링클러, 점적)
고온 다습
  • 35% 이하의 흑색 빛가림망 이용
  • 환기 철저
  • 예방적 병해충 방제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호우, 태풍
  • 시설 안전관리 철저
  • 예방적 병해충 방제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 엽면시비, 배수철저
저온, 혹한
  • 보온 덮개 또는 터널이용 보온
  • 수막재배
  • 투광성, 보온성 높은 덮기자재 설치
석회결핍
  • 충분한 석회 시용, 적습유지
  • 토양이 건조하다가 수분이 많아져 생육이 빨라지면 많이 발생
  • 질소, 칼리 과다시용 금지, 합리적인 비료주기 및 토양수분 관리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