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수분 관리
- 아주심기하여 뿌리내리기까지는 토양 수분이 부족하지 않게 관리
- 뿌리내림 후에는 점차 수분을 줄여 수정기에는 건조하게 관리
- 과실비대기에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과실비대 촉진
- 수확기에는 토양수분을 줄여 당도 축적 유도

병해충 방제
- 흰가루병, 덩굴마름병, 검은점뿌리썩음병, 진딧물, 총채벌레, MNSV
멜론의 비료성분 흡수량
멜론의 비료성분 흡수량
구 분 |
질소 |
인산 |
칼리 |
석회 |
마그네슘 |
주당흡수량 (1주 1과) |
예 1 |
4.4g |
1.6 |
6.8 |
9.3 |
1.2 |
예 2 |
5.5 |
2.2 |
6.7 |
7.5 |
2.6 |
10a당 흡수량 (2,400주 아주심기) |
예 1 |
10.6kg |
3.8 |
16.8 |
22.3 |
2.7 |
예 2 |
13.2 |
5.3 |
16.2 |
18.0 |
6.2 |
* 일반적으로 멜론의 비료 흡수량은 그다지 많지 않음.
흡수되지 않거나 녹아내려 가거나 휘산되는 양이 있기 때문에 비료 주는 양은 흡수량보다 많이 줘야 함.
그러나 시설재배에서는 비를 맞지 않고 이어짓기 재배를 하므로 많이 주지 않는 것이 좋음.
재배적 특성
재배적 특성
학명 |
Cucumis melo L. |
분류 |
박과 |
생육온도 |
발아적온 |
28~30℃ |
모 기르기 적온 |
18~25℃ |
개화적온 |
20~25℃ |
생육적온 |
20~30℃ |
과비대적온 |
20~25℃ |
저장적온 |
0~4℃ |
재배적지 |
토양산도 pH 6.0~6.8의 배수와 통기성이 좋은 토양 |
생리적특성 |
- 건조한 것을 좋아하고, 비료가 많이 필요하지 않음.
- 저온에는 약하나 고온에는 강함.
- 충분한 광이 필요
- 토양공기(산소)의 요구도가 높음
- 비가 많으면 병이 많이 발생하고 습도가 높으면 당도가 떨어짐
|
품질향상기술 |
- 세워 키우기는 6~9주/3.3㎡, 눕혀 키우기는 2~3주/3.3㎡
- 시설의 현대화 : 시설이 높고 환기 및 보온 시설완비
- 눕혀 키우기에는 과실 받침대나 과실 유인장치 이용
- 주간 고온(35℃ 이상) 관리는 넷트를 가늘게 하므로 주의
- 수확기에는 온도를 낮게 관리(낮 26℃, 밤 16℃ 내외)
|
작형별 출하시기
- 작물을 사철재배하는 시점에서 재배시기를 구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음
- 멜론은 고온성이며 환경변화에 민감한 작물이므로 기후와 환경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지역에 알맞은 작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함.
- 기온이 낮은 지방에서 무리하게 가온재배를 하거나 장마기에 수정하는 재배작형은 피하는 것이 좋음.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 목 |
내 용 |
봄비, 저온가뭄 |
- 배수구를 정비하거나 배수구에 비닐을 깔아 빗물이나 초봄의 눈 녹은 물을 받아내어 외부 유입수를 차단
- 촉성재배시 기상이변에 대비한 보온시설 완비
- 가뭄으로 건조할 때 진딧물, 응애 등 충해 방제 철저
|
열매터짐 (열 과) |
- 열매가 자랄 때 토양수분의 급변 주의
- 과실 생장기에 야간저온에 따른 과피가 단단해지는 것 주의
- 수확기까지 세력이 왕성하여 과피가 단단해진 후 비대 주의
|
검은점뿌리썩음병 |
- 토양온도가 높아 식물체가 연약할 때 많이 발생
- 토양전염되므로 소독하거나 불가피할 때는 접목재배를 하거나 약제처리(리조렉스 등)
|
덩굴마름병 |
- 밀식, 다습조건의 20~24℃에서 많이 발생
- 병이 발생된 부위는 깨끗이 제거하고 환기를 철저히 하며 지제부는 수분이 많지 않게 관리
|
괴저반점바이러스 |
- 토양전염을 하며 접촉전염도 함.
- 저온성으로 촉성재배 시 많이 발생하므로 지온 유지
- 반점이 발생하여 진전되면 포기 전체가 시듦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