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신선 농산물과 농식품의 미국 진출 확대를 위해 현지 네트워크 기반 구축에 두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2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조현동 주미 한국대사와 만나 농협 농식품의 현지 시장 진출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시장 개척을 위해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이날 조 대사와 강 회장은 최근 미국에서 거세게 불고 있는 ‘케이(K)’ 열풍을 농식품 수출과 접목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강 회장은 “농협은 미국 시장 농식품 수출 확대를 통해 국내 농산물 판매 확대와 농민의 소득 안정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농협 농식품이 현지에서 탄탄한 유통망을 구축 할 수 있도록 대사관 차원에서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했다.
강 회장은 앞서 17일 서상표 주애틀랜타대한민국 총영사와도 만나 농협 농식품 미국 진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농협은 17~20일 애틀랜타에서 열린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에 전국 팔도 쌀과 농협식품의 다양한 가공식품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이처럼 회장이 직접 나설 정도로 미국 시장에 공을 들이는 건 농식품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위치가 확고하기 때문이다. 농협은 지난 한해 자체 생산한 농식품 2억8900만달러(약 4090억원)어치를 외국에 수출했다. 이중 약 21%는 미국 시장으로 향했다. 미국 시장은 전체 농협 농식품 수출액의 5분의1 이상을 차지하고, 수출 금액(6036만달러)도 1000억원에 육박한다. 수출액 상위에 포진한 ▲배 ▲포도 ▲채소종자 ▲화훼류 ▲쌀 ▲김치류 등은 국내 농가의 소득과 직결된 품목이다.
진현준 NH농협무역 미국법인장은 “한국산 배를 공급받던 현지 코스트코사가 최근 샤인머스캣 공급을 제안했을 정도로 신선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은 인구가 3억명이 넘고, 한국 교민이 많은 덕에 농협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높아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선 절대 놓쳐서는 안되는 시장”이라고 설명했다.
농협은 미국 내 유통망 개척에도 힘을 쏟고 있다. 17일과 21일 현지 농식품 유통사인 시카고푸드와 하나그룹과 각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다.
시카고푸드의 경우 미국 중부 지역 주요 마트에 식료품과 농축수산물을 공급하며 지난해 연매출 약 3000억원을 올렸다. 농협은 이번 MOU를 통한 공동 마케팅으로 쌀, 쌀어묵, 쌀과자 등의 현지 판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하나그룹은 미 동부지역 11개주, 2000여개 농식품 매장에 농식품을 공급하는 유통사다. 양사는 공동 홍보전략 수립, 공동 상품기획 등을 통한 협업 관계를 구축해 ▲쌀 ▲즉석밥 ▲고춧가루 ▲배즙 등의 판매를 공격적으로 키워가기로 했다. 특히 하나그룹은 현지인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 직매장도 11곳 운영하고 있어, 농협 식품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 회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현지 판촉활동을 강화하고, 미국 현지에 촘촘한 유통 네트워크를 다져나갈 것”이라며 “농협 농식품으로 교민뿐 아니라 현지인의 입맛까지 사로잡아 농식품 수출을 늘려 그 성과가 농업 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워싱턴DC(미국)=김해대 기자 hdae@nongmin.com
<출처 : 농민신문 >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