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경영ㆍ정보
- 농업경영
농업에서도 연구한 성과물에 대한 특허권을 획득해 이를 농업 현장에 활용하는 것이 농업의 발전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업인이 특허권을 인정받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과정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쉽게 진행 할 수 있다. 미래 농업의 경쟁력을 키워줄 농업 분야 특허는 어떻게 출원하여 등록하고 기술 이전하는지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담당 연구원에게 방법을 알아보자.
- 농촌진흥청
- 2022 년
- 54
2. 산업재산권 기술이전
그럼 연구원님 어렵게 받은 특허를 잘 활용하는 방법도 중요할 것 같은데 만약 농업인이나 농업관련 산업체가 특허권이 등록된 기술을 이전받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하면 되는 건가요?
네 굉장히 좋은 질문입니다 그리고 저희가 하는 일이기도 하고요
먼저 이전받고자 하는 특허가 어떤 종류인지를 확인해야 됩니다
특허의 종류에는 국가공무원이 개발한 국유특허 그리고 지자체, 민간, 대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비국유특허 이렇게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 사용하고자 하는 특허를 찾은 다음에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특허 신청 사용권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그런 간단하게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 신청만 하면 되는 건가요?
네 저희 진흥원에서는 농업 과학 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 성과를 실용화할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인데요
농업인이나 농산업체가 사용하고자 할 때 특허권자와 사용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원님이 하시는 일이다~' 이런 말씀이신 것 같은데 기술 이전을 받기 위해서 또 다른 조건들이 있을 것 같아요
기술이전은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으면 누구나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도움을 준다면 기술 이전을 믿고 신청할 수는 있을 것 같은데 접수는 어떻게 합니까?
기술이전은 저희가 재작년부터 빠르고 쉽게 온라인으로 신청을 할 수가 있는데요
먼저 농림축산식품기술사업화종합정보망 굉장히 좀 긴 이름이죠
www.nati.or.kr에 접속하셔서 내가 원하는 특허를 검색하셔서 찾으신 다음 서식에 맞춰서 신청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신청서에는 기술 이전받고자 하는 특허 그리고 앞으로 생산 하실 제품 그리고 자기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차근차근 입력해 주시면 되는데요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기술 이전 신청이 완료됩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또 수정이 필요할 수 있잖아요
신청서수정이 필요할 수도 있고 또 승인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계약 체결까지 약 3주 정도가 소요가 되기 때문에 여유를 가지고 미리미리 신청해주시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알겠습니다
그럼 연구원님이 말씀해 주신 모든 과정을 마치고 드디어 기술 이전을 신청했는데 이전받은 기술이 현장에 잘 적용될 수 있게 도움이 분명히 필요할 것 같아요 지원 사업 같은 건 없을까요?
물론 그것 또한 준비되어 있습니다 바로 '농업 실용화 기술 R&D 지원사업'인데요
농식품 분야 공공 그리고 민간에서 개발한 특허 기술들이 묻히지 않도록 기술 이전을 받은 업체에서 시제품을 만들고 개발하는 데 드는 비용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기술 이전 제품의 품질 개선과 공정고도화를 통해서 매출과 신규 일자리가 더 많이 늘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고요
마케팅과 홍보역량을 강화해서 제품 상품성 개선과 유통 활성화 또한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농업같이 초기에 굉장히 고비용으로 드는 그런 분야가 있잖아요
이렇게 좀 민간 투자가 어려운 분야에 있어서는 제품화와 현장 적용 시범사업 지원을 지원해서 첨단기술 실용화를 촉진시키고 있습니다
사업모집 시기나 자격 조건이 궁금하실텐데요
저희 한국농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koat.or.kr' 사업 공고를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 있다고 하니까 좀 주기적으로 체크를 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