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農)영상

가루쌀 재배기술

  • 국립식량과학원
  • 2023 년
  • 21,767
시나리오

가루쌀 재배기술



우리나라 쌀 소비량은 감소하는 반면 밀 수입량은 97.9%로 국내 자급률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인데요.

최근 농촌진흥청에서는 쌀 소비시장 개척을 위해 가공 전용 품종인 가루쌀, ‘바로미2’를 개발했습니다.

고품질 가루쌀 안정 생산을 위한 재배 기술을 지금 소개합니다.



가루쌀은 수확 방식이나 형태는 일반 쌀과 같지만,

성근 전분 구조로 가루로 쉽게 빻을 수 있어 제분 비용이 일반 쌀보다 50% 저렴합니다.

비록 쌀 구조가 성글어 수분흡수가 빨라 수발아 위험이 크다는 단점도 대두됐지만,

이는 이삭 패는 시기를 8월 하순으로 조절해 수확기 고온 다습한 환경만 피한다면

정상적인 생육과 수확을 기대할 수 있어 쌀 가공에 적합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장점 많은 가루쌀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재배할 수 있는데요.



가. 육묘

① 준비

가루쌀의 재식밀도는 3.3㎡당 80주이기 때문에 10a당 종자는 5~6kg, 육묘 상자는 30개를 준비해야 하는데요.

이때, 재사용하는 육묘 상자는 반드시 세척 해야 병균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② 종자소독

가루쌀 품종인 바로미2는 온탕 소독할 경우, 발아율이 약 10% 정도 감소하기 때문에 파종량을 10% 정도 늘리고,

살균제를 처리해 죽은 종자에 의한 균 발생 피해를 막아야 합니다.

약제소독은 약제별 지침서를 참고해 실시하는데요. 소독 약제는 3가지 이상 섞어 쓰지 말고,

플로디옥소닐과 페니트로티온 유제를 함께 사용하면 초기생육이 지연되는 등 약해의 우려가 있어 혼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③ 파종

가루쌀은 볍씨 무게가 가볍고 늦은 육묘로 육묘기의 온도가 높아 파종량이 일반 쌀에 비해 적습니다.

따라서 파종량은 상자당 약 180g에서 200g이 알맞습니다.

파종할 때는 수분 보유력과 흡수력이 좋아 물관리가 쉬운 중량상토를 사용합니다.

싹 키우기는 균일한 육묘를 위해 상자는 10~15단 정도만 쌓아주고 비닐 포장은 하지 않습니다.

④ 육묘 관리

가루쌀은 고온기에 육묘하기 때문에 기간은 8~12일 정도가 적당한데요. 노지에서의 바닥 육묘가 바람직합니다.

부득이하게 하우스 육묘할 때는 철저한 통풍관리로 25℃ 이하를 유지해 모가 웃자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 선반 육묘는 아랫단으로 수분이 흘러 매트 형성이 어렵고 웃자람이 우려되므로 지양하고,

매트형성을 위해 육묘기 관수는 하루 1~2회가 적당합니다.





<최남훈/농업인(김제 장인명품 대표) Q. 육묘 잘하는 방법?>

“”육묘의 포인트는 크게 두가지로 볼수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는 파종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관행 육모에 있어서 신동진 품종을 기준으로 할 때 적정 파종량이 250g 내외가 이지만,

가루쌀의 경우에는 철립중 자체가 신동진보다 약 1/3 가볍기 때문에 가루쌀은 180g~200g 내외가 적정 파종량입니다.

또 하나는 육묘기간중에 물주는 방식, 즉 관수하는 방식에 따라서 뿌리의 생육상태가 달라지게 됩니다.

매트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가급적 관수량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튼튼한 모를 키울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 모내기

모내기는 6월 하순~7월 상순에 실시하는데요. 모내기 전 모판은 모가 마르지 않을 정도로만 수분을 최소화합니다.

재식밀도는 3.3㎡당 80주 정도로 포기당 5~10본 정도 심는데요.



다. 생육 관리

① 시비

시비는 1,000㎡당 질소 9kg, 인산 4.5kg, 칼리 5.7kg을 주는데요.

가루쌀은 생육상황에 따라 8월 하순 무렵 이삭이 팬 후 필요할 때 알거름으로

1,000㎡당 요소비료로 3kg을 주면 더 잘 여물지만,쓰러짐이 발생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합니다.



② 물

가루쌀 시기별 물관리는 다음과 같은데요.

모낼 때 물이 깊으면 어린모가 잘 심기지 않고 뜨는 모가 많아지기 때문에 2~3cm 정도로 얕게 댑니다.

헛새끼 칠 때는 물을 빼줘 뿌리가 튼튼해져 벼가 건강하게 자라게 합니다.

이삭 팬 후 35~40일경 완전 물떼기를 해주는데요.

여문 시기가 늦기 때문에 일반 벼보다 5일 정도 늦게 물떼기를 합니다.

③ 잡초방제

잡초는 약해가 없는 적용 제초제를 선택해 처리해야 하는데요.

토양 처리형 제초제 사용 후에는 최소 4~5일간 물 담김 상태를 유지해야 약해가 없고 효과적인 잡초방제가 가능합니다.

④ 병해충 방제

오갈병과 검은줄오갈병 등의 바이러스병과 멸구류와 나방류 등의 해충에는 저항성이 없으므로 적기에 기본 방제가 필요합니다.

또, 이삭 패는 시기가 늦어 이화명나방, 혹명나방과 같은 나방류로 꼼꼼히 예찰해 발생 초기에 방제하고,

이삭이 팬 후 안개가 자주 끼거나 구름이 많고 습도가 높은 날이 지속되면 살균제를 처리합니다.



가루쌀 맞춤 재배기술 책자와 재배력은 현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책자로 내려받아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쌀 소비 수급 불균형 개선뿐만 아니라 밥쌀용으로 사용되던 쌀 소비패턴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새로운 벼 품종,

가루쌀 재배에 지금 도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