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영동군

방치된 과원에 인접한 과원의 배나무에 흑성병이 발생했어요

  • 기술지원일 2012-05-31
  • 작성자 김태영
  • 조회수 2,575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시 : 2012. 5. 31.
  • 장 소 : 충북 영동군
  • 농가의견
    •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해 금강수계 수변지역의 토지(배 과원 : 2011년 11월 매입)를 매수하여 금년 병해충방제를 위한 농약살포를 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였음
    • 이로 인하여 인접한 배나무 재배 농가로부터 방치된 과수원에서 병원균이 전염되어 흑성병이 많이 발생되었다는 민원을 접수하고,
    • 인접한 배나무의 병충해 피해상태, 흑성병 발생 원인을 현장기술지원을통하여 정확히 조사해 줄 것과 향후 관리방안에 대해 알고자 함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 재배작물 : 배(약 10년생 전후 추정)
  • 품 종 : 신고
  • 재배면적 : 4,202㎡(약 1,300평)

현장조사 결과

  • 민원대상 과수원은 금강변에 위치한 저지대로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공기유통이 적어 습도가 높고 안개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금강유역환경청에서 매입한 배 과수원과 피해가 발생했다는 농업인의 과수원과의 거리는 약 5m 정도로 인접해 있었음
  • 금강유역 환경청 매입 포장의 배나무는 피해농가의 요구에 의해 5월 14일에서 5월 17일 사이에 배나무 원줄기를 제거하여 쌓아둔 상태로 관리 상태를확인 할 수 없었고,
  • 민원을 제기한 피해 농가의 과수원 관리 상태를 살펴본 결과, 병 전염원이될 수 있는 전정한 나뭇가지를 수관하부 원줄기 부근에 쌓아두고 있었고, 일부 중간 중간에 고사된 나무도 있어 관리 상태는 대체로 불량했음(영동지역 배나무 만개기 : 4월20일 및 21일 경)
  • 피해농가 과수원의 흑성병 발생 상태를 금강유역환경청 구입포장에서 거리별(10, 50, 100m)로 조사한 결과, 거리에 관계없이 병 발생에 차이가 없었으며, 신초 잎에서는 기부로부터 4.5~5.6엽까지 발생되고 많이 진전된 가지는 9엽까지도 흑성병이 발생되어 있었음
    • 흑성병이 발생된 과실은 달관조사결과 전 포장 평균 약 50% 이상이었음

■ 피해농가 거리별 과총엽의 흑성병 이병엽율 및 신초엽 흑성병 발생상태

피해농가 거리별 과총엽의 흑성병 이병엽율 및 신초엽 흑성병 발생상태
거리(m) 과 총 엽
이병엽율(%)
신초엽 이병상태(엽) 인공수분 방법
평균이병엽 최상위이병엽
10 82.1 4.5 7 49.5
50 85.4 4.8 6 49.5
100 83.4 5.6 9 49.5

■ 4, 5월 영동지역 강수량(영동군농업기술센터)

피해농가 거리별 과총엽의 흑성병 이병엽율 및 신초엽 흑성병 발생상태
월/일 4/2 4/3 4/10 4/11 4/19 4/21 4/22 4/24 4/25 4/30 5/1 5/11 5/14 5/15 5/28
강수량
(mm)
0.5 19.0 1.0 1.5 0.5 23.5 0.5 0.5 11.5 0.5 1.0 0.5 18.0 1.0 2.6
  • 기타 조사내용
    • 피해농가와의 면담 내용 중 피해과원의 흑성병 이병 상태의 다발생 정도는 5월 5일경 확인하였다고 하였으며, 흑성병 방제를 위해 농약을 수차례살포하였다고 함
    • 약제 살포 시기와 사용약제에 대해 농업인에게 의뢰하였으나 약제 구입내역 외에 정확한 살포 일자는 확인을 할 수가 없었음
    • 흑성병 방제에 등록된 약제와 구입한 날자 : 훼나리(4.12), 싱그롱(4.25), 푸름이(5.3), 나티보(5.8, 5.26, 5.27, 5.29), 스칼라(5.10, 5.12), 실바코(5.15, 5.16), 아태미(5.22)
    • 또한, 피해 과원은 민원을 제기한 농업인(○○○)의 소유 과원이 아닌 금년부터 임차 관리한 과원으로 ○○○농업인이 임차하기 전 3년간은 다른사람에 의해 임차 관리된 과원이었음

종합 검토의견

  • 흑성병의 병원균은 전년도 가을에 감염된 꽃눈, 잎눈, 줄기, 낙엽에서 월동한 병원균이 봄에 분생포자 및 자낭포자를 형성하면서 1차 전염원으로 되며, 1차 전염 후에는 주로 잎 뒷면에 형성되는 분생포자가 2차 전염원이 됨
  • 1차전염원인 눈에 감염된 병원균은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2월부터 증식하여 인접 눈에 감염하여 개화 초기부터 꽃줄기, 잎줄기, 어린 과실, 잎에 감염을 일으키며, 감염 후 15-16일의 잠복기를 거쳐 육안으로 관찰 할수 있는 병징으로 발달하게 됨
  • 또한 월동병반에서 떨어져 나온 포자는 멀리 날아가지 않으며, 공기에 의한전염보다는 대부분 빗물에 의한 전염을 일으키므로 배 생육초기에 감염(1차전염)된 병원균은 주로 자체포장에서 감염되어 병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 흑성병 2차 전염은 주로 배나무에서 초엽이 완전히 전개된 이후(잎 전개기)에 나타나며, 1차 전염된 병원균에 의해 병반에 형성된 수많은 포자가 공기중으로 비산하여 전개된 잎에 도달하여 부착되어 있다가 기온 및 습도가 알맞으면 발아, 침입하여 병 발생이 이루어지는데, 5~6일의 잠복기를 거쳐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병징이 나타나게 되며,
  • 흑성병 발생은 4월 하순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여 개화기 전후 약 3주간 사이 16~23℃의 온도에서 약 9시간 이상 잎 등에 수분이 존재하는 환경조건에서 발생이 많고, 고온기는 발생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위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영동지역 흑성병 발생에 영향을 준 기상은 만개기 직후인 4월 22일~25일 사이 강우와 5월 14일과 15일의 강우가 영향을 준것으로 추정되며,
  • 이들 강우 중 4월 22일~25일 사이의 강우는 1차전염원에 의해 주로 과실과 과총엽 그리고 신초 기부 1~2엽에 발생되어 5월 초순경 병징이 육안으로 관찰된 것으로 추정되며, 5월 14일 및 15일의 강우는 2차전염원에 의해 신초 잎에 발생된 것으로 추정됨
  • 따라서 1차 전염에 의해 발생된 병반으로부터 전염된 포자가 잎에 붙어 있다가, 5월 14일~15일 강우 시 침입하여 2차전염원에 의해 흑성병 발생이 조장된 것으로 추정되나 전염된 포자가 자체포장에 의해서만 전염된 것인지, 인접포장(금강유역환경청 매입포장)으로부터 전염에 의해 발생이 더욱 조장된 것인지는 정확한 확인이 불가함
  • 금강유역환경청 구입포장에서 피해농가 과수원의 흑성병 발생상태를 거리별(10, 50, 100m) 조사한 결과 거리에 따른 병 발생에 차이가 없었으나, 흑성병의 전염특성상 2차 전염은 공기에 의해 전염이 되기 때문에 방치된 금강 유역환경청 배 과수원에서 인접한 농업인의 배 과수원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금강유역환경청의 방치된 배 과수원이 피해농가 과수원 흑성병 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판단이 불가함
  • 또한, 피해농가에서 약제를 여러 차례 철저히 살포하였다고는 하나 병 발생이 심하고 이병 잎과 이병과실에 흑색반점증상이 진전형으로 농약살포에 의해 병반이 정지된 증상은 찾아 볼 수 없었던 점으로 보아 약제살포 시기의적정성 및 살포약량 등도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됨
    • 지금까지 배나무 과수원에서 흑성병 발생 상태를 보면 인접한 과수원에서 흑성병 발생이 심해도, 효과적인 약제 살포에 의해 흑성병 예방·방제는 가능

금후 기술지도 방향

  • 고사된 나무와 나무주위 쌓아놓은 전정가지는 제거하여 전염원을 차단하고, 이병 잎이나 과실은 제거하여 땅속에 묻거나 소각하여 1차 전염원의 병원균 밀도를 최소화 하고,
  • 병든 잎과 과실을 없앤 후에는 약제 살포를 충분히 하여 병든 잎과 과실 제거과정에 전염된 포자의 발아를 억제함으로써 6월 상순이후의 병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 과수원 내에 바람과 햇빛이 잘 들어오도록 하고, 봄철 발아 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여 사전 예방을 하고, 재배과정에서 흑성병이 발생될 수 있는 기상환경이 되면 적용약제를 충분히 살포하여 방제를 하고, 흑성병이 심할 경우에는 꽃눈의 감염을 막기 위해 9~10월 경에 10일 간격으로 2회 정도의 약제 살포가 필요함

관련 사진

피해농업인 과수원 현장조사 배나무 제거상태(금강유역환경청)
피해농업인 과수원 현장조사 배나무 제거상태(금강유역환경청)
피해농가 병 발생 상황 조사 흑성병 발생 상태(과총엽)
피해농가 병 발생 상황 조사 흑성병 발생 상태(과총엽)
흑성병 발생 상태(신초엽) 흑성병 발생 상태(열매)
흑성병 발생 상태(신초엽) 흑성병 발생 상태(열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