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시

논벼오염하수 관개로 벼가 고사해요

  • 기술지원일 2012-07-12
  • 작성자 김태영
  • 조회수 1,229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시 : 2012. 7. 12.
  • 장 소 : 경기도 평택시
  • 농가의견
    • 모내기를 위해 논 정지작업 시 배수로에서 급수한 물을 사용한 농가만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폐수유입에 의한 생육부진 피해라고 주장하며,기업체에서 사용하는 화학약품이 원인으로 보고 방류업체를 색출하여 피해를 보상하고 불가할 경우 시에서 보상조치를 해 줄 것을 요구함

현지조사 결과

경종개요

  • 피해농가 : 11농가 46필지
  • 피해규모 : 9.1㏊
  • 재배작물 : 벼(추청벼, 고시히카리)
  • 재배면적 : 3㏊(2차 하엽고사 면적)
  • 이 앙 일 : 5월 25~6. 6일경
  • 육묘방법 : 기계 육묘
  • 특기사항 : 이앙시 물 부족으로 인한 배수로 물을 막아 용수로 이용

현장조사 결과

  • 피해지역의 배수로 상류에는 기업체의 공장들이 산재해 있었으며, 배수로를 따라 좌우로 논이 조성되어 있었음
  • 평소에는 농업용수로가 조성되어 있어 별도로 용수를 공급받았으나, 가뭄으로모내기에 필요한 용수가 부족하여 배수로의 물을 막아 용수를 보충하여 모내기를 하였다고 함
  • 배수로 물을 댄 논에만 피해가 나타났으며, 배수로 물을 사용하지 않은 논은 정상적인 생육을 하고 있었음
  • 피해증상은 벼 잎에 갈색반점이 무수히 생기면서 점차 하엽부터 갈변고사하며, 뿌리는 새뿌리가 발생되지 않고 흑갈색으로 죽어가고 있었음
  • 피해정도는 필지에 따라 차이가 심했으며, 품종간에도 고시히카리 보다 추청벼의 피해가 심했음(같은 필지에 모가 부족하여 추청벼, 고시히카리 두 품종을 같이 심은 포장에서 피해 차이가 확연하였음)
  • 민원인은 모내기 후 1주일 이내부터 모가 말라죽어 벼물바구미 피해로 판단하여 ○○○입제를 3회 살포하였으나 계속 말라죽었다고 함
  • 피해증상이 철 과다 증상과 비슷하였으나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 정상논과 피해논의 토양 및 식물체 시료 5점 채취하여 농업기술실용화 재단에 성분분석을 의뢰함(2012. 7. 13)

토양분석 결과

  • 토양분석 결과 유기물(OM), 유효인산(Av.P2O5), 규산(Av. SiO2) 등 일부 성분은 적정함량보다 다소 부족하거나 많지만 정상 생육 필지와 피해발생 필지 모두벼 생육을 저해할만한 특이한 결과는 없었음

■ 토양화학성 분석 결과

(2012. 7. 26, 농업기술실용화재단)

토양화학성 분석 결과
구분 pH
(1:5)
OM
(%)
Av.P2O5
(mg/kg)
교환성 양이온 (cmolc/kg) Av.SiO2 NH4-N
K Ca Mg Na (mg/kg)
정상 논 5.7 24 87 0.17 7.2 1.9 0.31 399 11
피해 논 6.4 17 56 0.31 9.9 3.0 0.31 579 36
적정기준 5.5-
6.5
25-
30
80-
120
0.25-
0.30
5.0-
6.0
1.5-
2.0
- 157-
180
-

식물체분석 결과

  • 식물체 분석결과 정상생육 잎에 비해 생육장해를 받은 잎에서 질소, 인산, 칼륨, 칼슘 등 다량원소 함량은 많은 반면, 철, 망간, 붕소, 구리 아연 등 미량원소함량은 적었음

■ 벼의 엽분석 결과

(2012. 7. 27,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벼의 엽분석 결과
시료내용 T-N P K Ca Mg Fe Mn B Cu Zn
% mg/kg
생육정상 잎 1.56 0.29 1.90 0.25 0.17 1.05 0.13 52.4 17.5 43.6
생육장해 잎(1) 2.34 0.35 2.48 0.29 0.14 0.07 0.09 37.6 17.0 31.1
육장해 잎(2) 2.40 0.29 2.01 0.28 0.14 0.09 0.07 36.4 16.7 19.5

※ 생육장해 정도 : 생육장해 잎(1)>생육장해 잎(2)

논물의 수질분석 결과

  • 생육장해 피해를 받은 논물과 경기지역 소하천의 수질과 비교해 보면 논물이 소하천 물보다 암모늄태 질소(NH4-N)는 다소 높으나 그 외 질산태 질소(NO3-N), 황산(SO42-), 염소(Cl-)함량은 적었음

■ 논물의 수질분석 결과

(2012. 7. 19,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논물의 수질분석 결과
구 분 pH EC
(dS/m)
COD NH4-N NO3-N SO42- Cl- Fe
-------------- mg/L --------------
논 물 7.0 0.34 20.4 0.40 흔적 1.60 3.95 0.238
소하천 - 0.22 - 0.30 2.62 13.90 18.00 -

※ 소하천 : 경기지역 소하천 평균 수질(2009,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변동조사사업보고서)

종합 검토의견

  • 벼 잎에 갈색반점이 무수히 생기면서 점차 하엽부터 갈변고사 되면서 새 뿌리가발생되지 않고 흑갈색으로 죽어가는 등 전형적인 환원철(Fe++)과 망간(Mn4+)과다에 의한 피해 증상을 나타내었으나 식물체 중 철 함량은 오히려 피해를 받은 잎에서 적었음
  • 피해정도는 필지에 따라 차이가 심하고 품종 간에도 고시히카리 보다 추청벼의피해가 심했음
  • 따라서 피해증상, 품종간 차이 등을 보면 관개수에 의한 피해로 보였으나 조사시점이 피해를 받은 날짜보다 한달 정도 경과되어 토양, 물, 벼 잎 등이 정상 상태로 환원되는 과정에 있어 정확한 피해원인을 밝히기는 어려웠음

기술지도 방향

  • 피해를 받은 벼는 생육이 저조하니 이삭거름 적기적량 시용, 병해충 방제 등 후기 본논 관리 철저히 함
  • 내년도 농사 대비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처방과 및 깊이 갈이하여 수직배수가 잘되도록 하고, 고온기 토양이 과도한 환원이 되지 않도록 관배수에 유의함

관련 사진

피해포장 전경 피해 우심 필지
피해포장 전경 피해 우심 필지
피해증상 피해증상
피해증상 피해증상
품종간 피해 비교(약 : 추청, 강 : 고시히카리) 품종간 피해 비교(약 : 추청, 강 : 고시히카리)
품종간 피해 비교(약 : 추청, 강 : 고시히카리) 품종간 피해 비교(약 : 추청, 강 : 고시히카리)
수질 조사 피해 조사
수질 조사 피해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