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부안군

논벼벼가 깨씨무늬병, 흰잎마름병등 병해를 입었어요

  • 기술지원일 2020-10-20
  • 작성자 고호철
  • 조회수 1,437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자 2020. 9.(1차), 10.(2차)
  • 장 소 전라북도 부안군
  • 출장자 1차 정동완 지도관, 최용환·강호성·강보구·강종국 기술위원 / 2차 김이기 지도사, 최용환·강호성·강보구 기술위원

    현장협조: 친환경기술과장 이봉기 과장 등 3명(부안군농업기술센터)

영농현황

  • 작 물 명 : 벼(품종 : 신동진)
  • 재배규모 : 9,900㎡(농가 1), 9,900㎡(농가 2)
  • 이 앙 일 : 6월 1일(농가 1), 6월 3일(농가 2)

농가의견

  • 벼 출수기 이후 이삭도열병, 깨씨무늬병, 세균벼알마름병 증상 등의 병징을 보이면서 고사하는 증상이 발생해 원인을 규명하고자 현장기술지원을 요청함.

현장 조사 결과

<민원인 농가 1>
  • 민원인은 사료용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수확 후 신동진벼 25일묘를 6월 1일에 모내기하였으며, 측조시비로 오○○(7-20-8+8)를 10a당 60kg 시용하였으며, 이삭거름은 7월 30일에 신○○ NK비료(28-0-16+1+0.1)를 필지당 60kg 시용하였음.
  •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1차(8월 9일) 살균제 논○○+살충제 마○○+영양제 다○○, 2차(8월 23일) 살균제 올○○+살충제 빅○○+영양제 보○○, 3차(8월 31일) 살균제 헬○○+살충제 올○○+영양제 브○○, 4차(9월 13일) 살균제 벼○○+살충제 청○○○ 등을 필지당 500리터 사용하였음.
  • 현장에서 병해충 조사결과 잎에는 깨씨무늬병이 전반적으로 다 발생하였으며, 흰잎마름병, 잎도열병, 목도열병, 이삭누룩병, 잎집무늬마름병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벼멸구 피해 흔적은 간혹 관찰되었으나, 국지적으로 마름현상 피해지점에는 벼멸구 등 기타 해충은 관찰되지 않았음
  • 현장 벼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동일 필지 내 신동진벼의 출수기는 8월 26일경으로 추정되며, 정상개체의 벼키는 77㎝, 이삭길이는 21㎝, 주당 이삭수는 19개, 이삭당 벼알수는 83개였음. 반면에 이상 장해 개체의 벼키는 77㎝, 이삭길이는 20㎝, 주당 이삭수는 16개, 이삭당 벼알수는 80개 정도이며 30% 정도 불임이었음.
  • 민원인(농가1)의 논토양은 문포통으로 분류되고, 표토의 토성은 사양토로 염해답 유형의 토양임.
  • 현장에서 간이 토양조사 결과 동일 필지 내 정상생육 지점의 작토심은 24∼26cm이었고, 표토의 전기전도도(EC)는 0.30∼0.63dS/m이었으며, 생육불량 지점의 작토심은 24∼29cm이었고, 표토의 전기전도도(EC)는 0.27∼0.52dS/m로 비교 토양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음.
  • 2020년 부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분석한 토양화학성은 유기물(19g/kg), 유효인산(44mg/kg), 치환성 칼륨(0.25cmol+/kg), 칼슘(3.4cmol+/kg) 등 전 성분이 벼재배 상 적정범위 보다 낮은 경향임.
<민원인 농가 2>
  • 민원인(농가2)은 사료용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수확 후 신동진벼 25일묘를 6월 3일에 모내기하였으며, 밑거름은 측조시비용 이○○ 비료를 50a당 10포 시용하였으며, 이삭거름은 NK비료(28-0-16+1+0.1)를 필지당 30kg 시용하였음.
  •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1, 2, 3차 동일하게 살균제 헬○○+살충제 올○○+영양제 등을 필지당 500리터 사용하였음.
  • 현장에서 병해충 조사결과 잎에는 깨씨무늬병이 전반적으로 다 발생하였으며, 흰잎마름병, 잎도열병, 목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하엽 마름피해는 잎집무늬마름병 등으로 추정되며, 벼멸구는 드물게 관찰되었음.
  • 현장 벼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신동진벼의 출수기는 8월 28일경으로 추정되며, 거의 도복되었음. 벼키는 72㎝, 이삭길이는 18㎝, 주당 이삭수는 18개, 이삭당 벼알수는 53개였음. 반면에 이웃 정상농가(농가 3)의 벼는 도복되지 않았음. 벼키는 70㎝, 이삭길이는 19㎝, 주당 이삭수는 14개, 이삭당 벼알수는 83개로 생육상태가 좋았음.
  • 민원인의 논토양은 문포통으로 분류되고, 표토의 토성은 사양토로 농가1과 같은 염해논 유형의 토양임.
  • 2019년 부안군농업기술센터에서 분석한 토양검정 결과 유기물(6g/kg), 유효인산(5mg/kg), 치환성 칼륨(0.13cmol+/kg) 등이 재배 적정범위에 비하여 매우 낮았음.

종합 검토의견

<민원인 농가 1>
  • 병해충방제를 위해 4차례 농약을 살포했음에도 불구하고, 흰잎마름병, 잎도열병, 목도열병, 이삭누룩병, 잎집무늬마름병이 다수 관찰된 것은 장마기간 중인 8월 5일부터 8월 11일까지 연일 비가 와서 방제 적기를 놓친 결과로 추정됨.
  • 특히 깨씨무늬병이 다 발생한 이유는 토양 유기물 부족, 유효인산이 부족한 상태에서 8월 11일부터 8월 20일까지 깨씨무늬병 분생포자 생육 최적온도인 25℃∼30℃를 경과 하였고, 개화기 30℃ 이상 고온이 지속되어 발병이 조장된 것으로 추정됨.
  • 2020년 8월 9일 및 8월 31일에 4종 복합비료를 살균제 및 살충제와 혼용 살포하여 일부 약해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 농약과 제4종 복합비료를 혼용하면 작물의 종류 및 품종, 생육상태, 기상조건, 희석농도에 따라 약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표 1. 2020년 8월 부안군 계화면 최고기온 현황(기상청 관측자료)

표 1. 2020년 8월 부안군 계화면 최고기온 현황(기상청 관측자료)
구분(월.일)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최고기온(℃) 30.1 32.3 34.2 32.7 32.9 34.2 32.2 33.2 32.9 33.3
평균기온(℃) 27.1 27.9 29.0 28.7 28.6 28.1 27.8 27.7 26.9 26.9

 

표 2. 2020년 8월 부안군 계화면 강수량 현황(기상청 관측자료)

표 2. 2020년 8월 부안군 계화면 강수량 현황(기상청 관측자료)
구분(월.일) 8.5 8.6 8.7 8.8 8.9 8.10 8.11
강수량(㎜) 30.5 25.0 83.0 119.0 19.0 14.0 2.0
평년강수량(㎜) 0 0 0.1 1.3 3.4 0 5.8

 

<민원인 농가 2>
  • 깨씨무늬병, 이삭도열병 등 병징을 보이면서 고사하는 증상은 논토양 분석결과 유기물(6g/kg), 유효인산(5mg/kg), 치환성 칼륨(0.13cmol+/kg) 등이 매우 낮은 상태에서 질소비료과다 등으로 양분흡수 불균형, 출수기 전후 고온다습, 약해, 병해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피해로 추정됨.
  • 특히 깨씨무늬병이 다 발생한 이유는 토양 유기물 부족, 유효인산이 부족한 상태에서 8월 11일부터 8월 20일까지 깨씨무늬병 분생포자 생육 최적온도인 25℃∼30℃를 경과 하였고, 개화기 30℃ 이상 고온이 지속되어 발병이 조장된 것으로 추정됨.
  • 2020년 8월 9일 및 8월 31일에 4종 복합비료를 살균제 및 살충제와 혼용 살포하여 일부 약해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 농약과 제4종 복합비료를 혼용하면 작물의 종류 및 품종, 생육상태, 기상조건, 희석농도에 따라 약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금후 기술지도

  • 금년 수확 후 농업기술센터에서 토양검정을 의뢰하여 비료사용처방서에 의한 비료를 시용하여 균형적인 양분공급 및 유기물자원을 투입하여 토양의 지력증진에 활용하기 바람.
  • 농촌진흥청은 농약의 혼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혼용이 불가피하게 필요할 경우 해당 농약회사의 농약혼용 가부를 꼭 확인 후 사용하거나 적은 면적에 미리 살포하여 약효 및 약해 이상 여부를 살펴본 후 전체 포장에 사용하기를 권장함.
  • 병해충 방제 약제 살포는 수분․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출수기 및 감수분열기(출수 전 14일)는 피하도록 교육할 것을 권장함.

관련 사진

농가 1 피해 논(사진1)농가 1 피해 논(사진1) 농가 1 병해충 피해 조사(사진2)농가 1 병해충 피해 조사(사진2) 농가 1 벼 생육조사(사진3)농가 1 벼 생육조사(사진3) 농가 2 현지 토양 조사(사진4)농가 2 현지 토양 조사(사진4) 농가 2 축사 앞 피해 논(사진5)농가 2 축사 앞 피해 논(사진5) 벼 이상장해 원인 설명(사진6) 벼 이상장해 원인 설명(사진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