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산청군

사과병원균 2종에 의해 사과나무가 고사해요

  • 기술지원일 2017-11-20
  • 작성자 이종남
  • 조회수 6,520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시2017. 11. 20.(월)
  • 장소경남 산청군 생초면 새실로 702번길 48-29
  • 출장자김쌍수 지도관, 이영철 · 한만종 · 곽한강 · 김종진 기술위원

    현지 조사협조 : 산청군농업기술센터 지도사 강동구 외 1명

영농현황

  • 농 가 : 경남 산청군 생초면 향양리 728-1, 배 ○ ○.
  • 작 목 명 : 사과 저수고 밀식 재배
  • 재배품종 : “홍로”(대목 M.26, M.9)
  • 재식거리 : 4.0m × 2.0m
  • 재배면적 : 3,305㎡(약1,000평)

농가의견

민원인은 사과원 잡초방제 교육을 받고 농약회사의 시범포로 지정되어 제초제를 2회 정량 살포한 결과, 사과나무의 생육이 부진하고 잎이 황화 되면서 나무 전체가 고사하는 피해가 발생하여 정확한 원인을 알고자 함.

현장조사 결과

  • 민원인은 사과원 잡초방제를 위해 금년 4월 14일과 6월 10일에 사과에 등록된 잡초 발생 전 토양처리제인 “알리온” 50cc와 생육기 경엽처리제인 “바스타” 1,200cc를 물 400L에 혼합하여 3,300㎡(약 1,000평)에 살포하였다고 함.
  • 민원인은 제초제를 살포한 사과원의 사과나무가 9월경부터 잎이 황화되면서 나무 전체가 고사하는 피해가 발생하여 제초제에 의한 피해로 나무가 고사하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었음.
  • 현장방문 당시 민원인이 제초제를 살포한 사과원의 200주 중 나무 전체가 고사한 80주 정도는 굴취 하였고, 50주 정도는 주간부 수피에서 수액이 흘러나오면서 고사한 부위를 칼로 도려내고 도포제로 피복하였으며, 이와 같은 피해 증상은 M.9 대목 나무는 피해가 거의 없었고 M.26 대목 나무에서 피해가 심하였음.
  • 고사한 사과나무를 굴취한 상태로 보아 사과원의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사과나무가 고사하여 굴취 되었으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피해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음.
  • 고사한 사과나무의 피해증상을 현장에서 관찰한 결과, ① 지제부 대목 부분의 수피 안쪽은 갈색으로 변색되어 있었으나 접수 부분은 정상으로 경계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② 뿌리는 일부 정상적인 뿌리가 있었으나 대부분이 흑갈색으로 썩어 있었음.
  • 굴취한 사과나무의 주간 부위와 뿌리의 시료를 채취하여 병원균을 분리 검정한 결과 사과나무의 역병균(Phytophthora sp.)이 검출되었음.
  • 피해 과수원의 토양은 점토 함량이 10% 내외인 사양토이고, 토양산도(pH)는 6.7로 양호하였으며, 토양수분 함량은 10%내외로 배수와 투수성은 양호한 상태이나, 뿌리 부위에 경반층이 형성된 것으로 조사되었음.

종합 검토의견

  • 민원인이 사과원 제초를 위해 살포한 2종류의 제초제는 모두 사과에 등록되어 있는 제초제이며, “알리온”은 정식 후 3년 이상 과수에 사용할 수 있고, “바스타”는 나무의 표피가 목질화 된 과수의 나무 밑 부분이나 뿌리주변에 살포하여도 흡수이행이 되지 않는 제초제 임(2017 작물보호제 지침서, 1077과 1172쪽 참조)
  • 위와 같은 제초제의 특성으로 볼 때 8∼9년생의 사과나무에 이들 제초제를 살포한 것이 주간과 지제부에 피해를 주어 잎이 황화되면서 나무 전체가 고사하였다고는 볼 수 없으며,
  • 민원인의 주장과 같이 사과나무의 고사피해 원인이 제초제에 의한 피해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내년에 재현시험을 실시하여 확인 할 필요가 있음.
  • 사과원에서 집단적으로 사과나무가 말라죽은 피해가 발생한 양상과 M.9 보다 M.26 대목의 사과나무에서 피해가 심하고, 사과나무의 주간과 지제부에 나타난 피해증상, 그리고 사과나무 지제부 부위에서 역병균이 검출되는 점 등으로 보아 민원인의 사과나무 고사원인은 사과 역병에 의한 피해로 판단 됨.

참고 자료 Ⅰ

  • 사과나무의 역병(疫病)은 뿌리, 대목, 줄기 및 과실 등에 발생하며, 병원균은 Phytophthora cactorum과 P. cambivora 2종이 주로 발생에 관여하고,
  • 토양 중의 역병균은 2년 이상 생존하며 지제부의 대목에 침입하여, 목질부가 흑갈색으로 변하고 진전되어 건전부와 사이에 균열이 생기고, 이병된 나무는 갑자기 쇠약해지고 잎이 황변하여 조기에 낙엽되며 나무는 고사하며,
  • 병원균은 뿌리와 줄기로 이동하고 과실에는 병원균이 빗방울에 튀어 이병되고 상부로 옮겨 2차 감염을 일으킨다.
  • 대목별 역병 저항성 정도는 M.9 > Mark > M.26 > MM.106 대목 순으로 특히 MM.106 대목은 역병에 매우 약하다.(출처 : 농업기술길잡이 사과재배, 2016, 농진청, 234∼236쪽).

금후 기술지도 방향(농가 실천사항)

  • “알리온”을 살포한 과수원의 사과나무를 갱신할 경우, 약제처리 후 1년 이상 경과된 후에 가능하며, 표토를 제거하거나 또는 경운 등을 통해 최소한 15cm 깊이로 토양을 혼화한 후 심을 것(2017 작물보호제 지침서 1,077쪽 참조).
  • 사과 역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과원에 외부로 부터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게 하고 과수원에 물이 고이지 않고 빨리 마르게 하며, 이병된 과일은 빨리 제거하여 매몰 처리함. 그리고 묘목 재식 할 때에는 대목의 지상부가 길게 남도록 함(저항성 대목일 경우).
  • 사과 역병의 약제방제를 위해서는 6∼9월에 강우 전 지표면과 지상부 대목 및 줄기에 전문약제 살포하고, 병에 걸린 이병부위는 발견 즉시 벗겨내고 아인산염 50∼100배액을 2회(참고자료 Ⅱ) 도포하거나, 아족시스트로빈 1,000배액 또는 포스에틸-Al 500배액을 도포함.

[참고 자료 Ⅱ] 아인산염의 제조 방법과 사용 요령

아인산이란 무엇인가?

  • 아인산(H3PO3)은 인산(H3PO4)과 달리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지 않는 P-H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이 P-H 구조는 역병균이나 노균병균의 인산대사 작용을 방해하여 병원균을 직접 사멸시키거나 생장과 번식을 억제시키며, 식물체의 병 방어 시스템을 자극하여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인산은 용해성이 높은 결정체로 물에 잘 녹으며 식물체의 목질부와 사관부로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지상부와 지하부 뿌리에 발생하는 역병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며,
  • 인축과 어류 및 미소동물에 대한 독성이 매우 낮고 환경오염의 우려가 거의 없으며 일반 농약에 비해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아인산은 일반 농약과는 달리 저항성균의 출현이 거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식물체에 대한 인산질 비료 효과는 낮고, 인산에 비해 식물체로 흡수가 잘 되지 않는 편이다. 따라서, 아인산을 양액에 투여하더라도 인산질 비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인산 과잉으로 발생되는 영양장애 발생의 우려도 적다.

아인산염 제조 방법과 사용 요령

  • 아인산은 강산성 물질로 식물체에 약해를 나타내므로 반드시 수산화칼륨(KOH)으로 중화시킨 뒤 사용해야한다(아인산과 수산화칼륨은 화공약품상에서 구입이 어려우면 (주)대유의 대리점에서 아인산 액제를 구입 가능).
  • 아인산염 제조 방법은 물(증류수, 수돗물, 지하수 등)에 아인산을 녹인 다음 수산화칼륨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액의 산도(pH)를 약 5.5~6.5로 조절하면 된다.
  • 아인산과 수산화칼륨의 비율이 약 100:90(무게 비율)일 때 용액의 산도가 약 5.8~6.2 정도 된다.
  • 고농도의 아인산염을 제조할 때 열이 발생되며 유독가스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아인산을 완전히 녹인 다음 수산화칼륨을 소량씩 첨가하면서 천천히 녹인다(수산화칼륨을 녹일 때는 스텐이나 철로 된 용기를 사용, 플라스틱 용기는 쭈그러짐).
  • 아인산과 수산화칼륨을 전체 사용량(10말 혹은 1 톤 등)에 녹이는 것 보다 소량의 물(1∼2말)에 녹여 산도를 조절한 다음 전체 사용량에 첨가하는 것이 편리하다.
  • 아인산염은 양액 첨가, 토양 관주, 지상부 살포, 묘 침지, 수간 주사 등 모든 처리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사과나무 대목부 역병 방제는 6월 중순경 병반부를 박피처리 한 후 아인산염제재를 100배로 희석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임. 박피처리가 힘들 경우 아인산염 50배로 희석하여 6, 7월경 2회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임.

아인산염 처리 방법 및 추천 농도

아인산염 처리 방법 및 추천 농도
재배유형별 역병발생 전 (예방효과) 역병발생 후 (치료효과)
수경재배 100 ppm 200 ppm
토양 살포 500 ppm (2,000배 희석) 1,000 ppm
지상부 살포 1,000 ppm (1,000배 희석) 2,000 ppm (500배 희석)
수간주사 30,000 ppm (3% 용액) 50,000 ppm (5% 용액)

※ 제품 구입 시 제품의 권장 살포 방법에 따라 살포함

농도별 아인산염 제조 예시

농도별 아인산염 제조 예시
아인산염 농도 물 량 (지하수 등) 혼합비율(pH 5.8∼6.2)
H3PO3 첨가량(아인산) KOH 첨가량(수산화칼륨)
1,000 ppm (1,000 배액) 1 말 (20ℓ) 20g 18g
25말 (500ℓ) 500g 450g
1 톤 (1,000ℓ) 1,000g (=1.0 Kg) 900g

관련 사진

초상(첫서리)피해로 잎이 말라 버린 전경 초상(첫서리)피해로 잎이 말라 버린 전경 지제부 부위 고사로 나무 굴취 상태 지제부 부위 고사로 나무 굴취 상태 대목 지제부와 뿌리의 상태대목 지제부와 뿌리의 상태 고사된 부위와 정상인 부위고사된 부위와 정상인 부위  지제부 수피 갈변(좌)과 치료 후 도포제(우 지제부 수피 갈변(좌)과 치료 후 도포제(우 현장 조사내용 설명현장 조사내용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