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강진군

논벼 목도열병에 이병되어 벼 이삭이 고사되었어요

  • 기술지원일 2017-09-28
  • 작성자 이종남
  • 조회수 2,128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 시 : 2017. 9. 28.(목)
  • 장 소 :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송정리 393-7
  • 출 장 자 : 고객지원담당관실 김이기 지도사, 박종욱·곽한강·예완해 기술위원
    • - 현장조사협조 : 강진군농업기술센터 작물연구팀장 김순옥 외 1명

영농현황

  • 농 가 명 :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송정리 심○○
  • 작 물 명 : 벼(동진찰)
  • 피해면적 : 3,000㎡

농가의견

  • 피해논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 축사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한 병해충 유발 여부 등 정확한 피해 원인을 밝혀 주시 바람

현장조사 결과

  • 피해논과 약 2.5m 거리에 축사(우사)가 있었으며, 축사 내부 공기가 고온일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환풍기가 여러 대 설치되어 있었음
  • 피해 지역이 축사와 인접한 논 가장자리가 가장 심했고 논 안쪽 지역으로 갈수록 피해가 적었으며, 축사와 거리가 먼 농로 쪽은 피해가 경미하였음
  • 피해증상은 대부분의 벼 이삭이 목도열병에 이병되어 있었으며, 대부분 후기에 이병되었으나 일부 초기에 이병된 이삭은 완전히 고사된 상태였음
  • 현지 조사 당시 벼의 생육단계는 수확적기인 완숙기로 정상적인 경우 엽색이 황색으로 변해 연한 녹색 상태이나 피해 우심지역은 아직도 엽색이 짙은 녹색으로 질소비료가 과비 된 상태였음
  • 피해지역과 피해가 경미한 지점의 토양 ㏗, EC 등을 조사한 결과 특이한 사항을 발견할 수 없었음
  • 민원인은 축사에서 발생한 가스가 벼에 영향을 준 것으로 의심하나 축사에서 발생한 가스가 논에 내려앉아 피해를 주었다고 주장하나 가스 발생 요인을 발견할 수 없었음
  • 피해 우심지역이 질소 과비상태인 점으로 보아 현재 상태에서는 강우로 인하여 분진을 확인할 수 없으나 축사 환기를 위해 환풍기를 작동하면 우분 등 분진이 바람에 날려 피해가 우심한 지역으로 날아 갈 것으로 추정되었음
  • 민원인은 피해 논에 밑거름으로 맞춤형복비 33㎏/10a만 시용하고 이삭거름은 시용하지 않았다고 하며, 병해충 방제는 논 전체적으로 4회 방제를 하고, 우심지역에는 추가로 한 번 더 방제를 하였다고 함

종합 검토의견

  • 민원인은 축사에서 나온 가스가 유입되어 피해가 발생하였다고 의심 하나 축사의 형태와 축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 종류 등으로 보아 가스 피해로 보기는 어려움
  • 피해가 목도열병에 이병되어 벼 이삭이 고사된 피해이며, 현재 고사된 지역 이외 논 전체가 목도열병에 심하게 이병되어 있어 우심지역에서 점차 인근 지역으로 확대된 것으로 판단 됨
  • 현재 피해 논 주변의 논의 벼도 일부는 목도열병에 심하게 이병되어 있어, 이 지역이 이삭도열병에 감염될 수 있는 호적한 환경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 축사 인접지역부터 피해가 심하고 우심지역의 벼 엽색 등으로 보아 질소 과다로 인한 도열병이 다발된 것으로 판단되며, 피해 우심지역은 고온기에 축사 환기를 위한 환풍기 바람에 의해 축사 분진이 바람과 함께 날려 와 그 지역이 과비 상태가 되어 도열병이 먼저 발병되었을 것으로 추정 됨
  • 도열병은 질소비료 과용이 가장 큰 발병요인데 피해 논은 인근 다른 논 보다 벼 생육 중·후기인 8월∼9월 상순에 질소 질 비료가 지나치게 많게 되어 발병이 된 것으로 판단되며, 여러 차례 방제를 하였으나 도열병 방제를 적기에 하지 않아 피해가 가중된 것으로 판단 됨

금후 기술지도 방향

  • 금후 적정 균형시비토록 하고 특히 질소 질 비료 과비지양 지도
  • 이삭 도열병은 출수기 전후에 벼에 결로 시간이 장시간 유지될 경우 감염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출수기 전후에 잦은 안개와 강우가 있을시 강우가 없는 틈을 이용하여 적용약제로 방제하거나 출수 7∼10일전 적용 입제약제를 살포 할 것.

관련 사진

관련사진
피해포장 전경 목도열병
피해포장 전경

목도열병

벼 잎색 비교(좌: 우심지역) 축사 내부
벼 잎색 비교(좌: 우심지역)

축사 내부

농가 의견 청취 피해상황 조사 결과 설명
농가 의견 청취

피해상황 조사 결과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