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잔디 제초제 사용 시기 문의

  • 기술지원일 2019-06-03
  • 작성자 고호철
  • 조회수 15,865

질의내용

산소에 제초제를 년 2회 사용합니다. 봄에는 한식 전에 주었습니다.
두 번째 장마철 대비 제초제를 주려고 하는데 종묘상에서는 어느 때는 장마 전에 주어야 한다고 했다가 장마 후에 주어야 한다고 하니 헷갈려서 그럽니다.
언제 주어야 효과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답변내용


  • 농약은 살포 후 7∼8시간 이내에 비가 오면 농약성분이 비에 씻겨 약효가 떨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 따라서 비가 올 가능성이 없을 때 살포한다면, 장마 전 혹은 장마 후, 아무 때라도 상관없습니다.
  • 아래는 효과적인 잡초 관리 방법입니다.
    • - 쑥이나 쇠뜨기, 토끼풀, 제비꽃 등 잎이 넓은 잡초가 많이 발생한 경우, 액체형 제초제인 디캄바 액제, 메코프로프 액제, 메코프로프-피 액제를 사용한다.
      • 제초제를 골랐다면, 사용 설명서에 따라 알맞은 농도로 희석해 배부식(등에 지고 사용하는) 분무기를 이용해 잡초가 난 곳에 골고루 뿌려준다. 주변 농작물에 약제가 묻으면 피해를 줄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며 뿌린다.
    • - 다년생 잡초 띠는 제초제를 한두 번 써서는 제거가 어렵다. 띠를 제거하려면 트리플록시설퓨론소듐 입상수화제를 알맞은 농도로 희석해 뿌린다. 띠 이외의 잡초들도 방제할 수 있다.
      • 올해 발생해 크기가 작은 띠(5cm 미만)는 한두 번 처리하면 뿌리까지 죽일 수 있지만, 큰 띠(10cm 이상)는 2년∼3년에 걸쳐 해마다 두세 차례 뿌려야 완전히 없앨 수 있다.
    • - 칡덩굴은 디캄바 액제를 사용한다. 칡덩굴에 직접 뿌리는 것보다 적당한 크기(3/4∼1호)의 붓이나 솔로 희석한 약제를 칡 줄기 아랫부분에 10∼15cm 정도 발라주는 것이 좋다.
      • 아까시나무의 경우, 디캄바 액제나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 액제를 잘라 낸 단면에 바르면 된다.
    • -제초제를 사용할 때는 미리 사용 설명서를 반드시 읽어야 한다. 알맞은 양을 사용해야 약해가 생기지 않으므로 제시된 양을 꼭 지킨다.
      • 남은 제초제는 약제포장지 그대로 밀봉한 후 바람이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남은 제초제를 다른 용기에 옮겨 보관하면 제초제의 성분이 변할 수도 있고, 나중에 무슨 약제인지 몰라 오용 또는 남용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