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량작물
- 논벼
벼농사를 짓다 보면 논 잡초로 인해 수확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이러한 논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제초제를 이용하여 왔는데 근래에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진 논 잡초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논 잡초 종합방제요령과 논 잡초 진단법을 살펴보도록 한다.
- 국립농업과학원
- 2012 년
- 504
시나리오
<이인용 박사 / 국립농업과학원>
“다년생잡초로는 올챙이고랭이, 새섬매자기, 올미, 올챙이자리, 쇠털골 등이 있는데요."
작년에 다년생잡초가 많았던 논에는 벤퓨러세이트가 포함된 제초제를 뿌리는 게 좋은데요. 모내기 후 10~12일 사이에 초,중기처리제를 뿌리거나, 모내기 후 15일경에 중기처리제를 뿌리면 됩니다.
다. 일년생잡초, 다년생잡초 방제요령
<리포터>
“네, 그렇다면 박사님. 마지막으로 일년생잡초와 다년생잡초가 골고루 섞여 있었던 논에서는 어떻게 방제를 해야 할까요?”
<이인용 박사 / 국립농업과학원>
“네. 이 경우에는 모내기 2~3일 전, 써레질을 할 때 이앙전처리제를 뿌려서 1차 방제해주고, 모내기 후 10~12일 사이에 초,중기처리제를 뿌리거나, 모내기 후 15일경에 중기처리제를 뿌려줘서 2차 방제하면 됩니다.”
특히, 제초제 저항성 논잡초 방제는 해마다 같은 제초제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성분이 다른 제초제를 번갈아 사용하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