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파종 및 출현 | 유묘기 | 월동 | 분얼기 | 유수분얼기 | 등숙기 | 건조·수매 | 저장·가공 | 종자·비료준비 | |||||||||||||||||||||||||||
엽수·분얼 증가 | 최고분얼기 | 신장기 | 성숙기 | 수확기 | 볏집·퇴비 | ||||||||||||||||||||||||||||||
출수기 | |||||||||||||||||||||||||||||||||||
파종·배토 밑거름 시비 제초제 살포 | 배수로 정비 | 동해예방(퇴비·흙넣기/흙밟기) | 웃거름 시비 제초제 살포 | 배수로 정비 | 붉은곰팡이병 방제* | 수확 | 수확 후 관리(건조·정선·저장) | ||||||||||||||||||||||||||||
*붉은곰팡이병 약제는 비 예보가 있을 경우, 비 내리기 전에 미리 살포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저온·습해·동해 | 새 피해 | 가뭄·습해 | 습해 | 이상저온 | 가뭄·고온 | 수발아 도복 |
10월 | 11월 | 1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상 | 중 | 하 |
개화시 붉은 곰팡이병 방제 | |||||||||||||||||||||||||||||||||||
*출수기 파악후 개화시에 1회 포자발아 억제 약제로 방제, 1주일 후 추가방제 |
지대 | 지역 | 파종적기 (파종한계기) |
밀 생산단지 권역 | |
---|---|---|---|---|
권역 | 지역 | |||
북부 | 수원, 대전, 영주 | 10.1. (10.10.) |
강원·충북·경북 | 상주, 안동, 예천, 청주, 홍천 |
강릉 이북 | 10.5. (10.15.) |
|||
중부 | 충남 평야지 | 10.20. (10.30.) |
충남 | 논산, 보령, 부여, 서천, 천안 |
전북 평야지 | 10.25. (11.10.) |
전북 | 고창, 군산, 김제, 부안, 익산, 전주, 정읍 | |
남부 | 전남, 경남 평야지 | 10.30. (11.15.) |
전남·경남내륙 | 광주, 구례, 나주, 보성, 순천, 의령, 장성, 함안, 합천 |
남부해안 | 11.1. (11.20.) |
남부해안 | 무안, 영광, 영암, 장흥, 진도, 함평, 해남, 제주 |
※ 밀 생산단지 권역 및 지역은 ’23년 국산 밀 생산단지 91개소를 기준으로 작성
※ 파종기는 평야지(표고 100m 이하) 기준이며 중간지(표고 100~200m)는 평야지보다 5일 당겨야 함
※ 중부 및 남부지역의 파종적기는 2020년에 재설정
재배양식 | 파종방법(cm) | 파종량(kg/10a) | ||
---|---|---|---|---|
휴폭 | 파폭 | 전작 | 답리작 | |
휴립광산파 | 150~180 | 120~150 | - | 16~20 |
휴립세조파 | 20~30 | 5 | 13 | 10~13 |
성분 | 시비량 | 분시 체계 | |
---|---|---|---|
밑거름 | 웃거름 | ||
요소 (N)* |
19.8 9.1 |
7.9 3.6(40%) |
11.9 5.5(60%) |
용성인비 (P) |
43.5 7.4 |
43.5 7.4(100%) |
- |
염화칼륨 (k) |
6.5 3.9 |
6.5 3.9(100%) |
- |
※ (강원·충북·경북지역) 밑거름과 웃거름 5:5 분시
구분 | 감수분열기 | 영화분화기 | 출수기 | 개화기 | ||
---|---|---|---|---|---|---|
피해온도(℃) | -4.0∼-3.0 | -4.0∼-3.0 | -3.0∼-2.5 | -4 | -2 | +2 |
불임율(%) | 15 | 18 | 23∼31 | 50∼62 | 36∼42 | 35 |
※ 유수형성기(2월 하∼3월 상·중순), 감수분열기(4월 상순), 출수·개화기(4월 중·하순)
작부체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
벼+밀 | ||||||||||||||||||||||||||||||||||||||||||
밀 수확 (6.5.~20.) |
벼 이앙 (6.25.~7.10.) |
벼 수확 (10.1.~10.) |
밀 파종 (10.20.~11.15.) |
|||||||||||||||||||||||||||||||||||||||
밀+콩 | ||||||||||||||||||||||||||||||||||||||||||
밀 수확 (6.5.~20.) |
콩 파종 (6.25.~7.10.) |
콩 수확 밀 파종 (10.15.~20.) (10.20.~11.15.) |
||||||||||||||||||||||||||||||||||||||||
밀+찰옥수수 | ||||||||||||||||||||||||||||||||||||||||||
밀 수확 (6.5.~20.) |
옥수수 파종 (6.25.~7.10.) |
옥수수 수확 밀 파종 (10.15.~20.) (10.20.~11.15.) |
항목 | 내용 | |
---|---|---|
저온, 동해 | 파종 전 |
|
파종 후 |
|
|
습해 | 파종기 |
|
생육기 |
|
|
가뭄 | 파종 시 |
|
겨울 가뭄 |
|
|
봄철 가뭄 |
|
|
쓰러짐 | 파종 시 |
|
황화현상 및 생육부진 | 습해 시 |
|
동해, 생육 부진 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