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작물 - 알팔파 재배기술

 

알팔파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작물로서 가축이 좋아하고 단백질, 칼슘, 비타민 등의 함량이 많으며 소화율이 양호하여 건초, 청예, 사일리지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최근 낙농가의 젖소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사료가치가 높은 알팔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알팔파재배는 활성화 되지 못하고 대부분 건초, 큐브, 펠렛형태의 조사료를 외국에서 수입하여 급여하고 있고 수입량은 1995년도에 큐브 및 펠렛 135천톤, 건초 16천톤이 수입되었으며 매년 증가추세이다. 알팔파는 환경에 대한 적응범위가 넓은 편이고 생산성이 좋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환경에서도 배수가 양호한 사료포 및 척박한 산지라도 토양개량과 적절한 시비관리 및 알팔파 근류균 접종을 하면 알팔파재배는 성공할 수 있다.

 

1. 알팔파 파종

. 파종상 준비

재배지는 토심이 깊고 토양유기물이 많고 배수가 양호한 토양이 유리함

알맞는 산도는 pH 6.8~7.5, 인산함량이 200ppm정도의 토양이 좋음

기비시용은 토양분석 후 석회요구량(3000kg/ha), 질소- 인산- 칼리-붕소 를 80- 200- 70 - 20 kg/ha 시용하는 것이 좋음

 

. 종자구입

현재 우리나라에서 장려품종은 루나(Luna), 버날(Vernal), 스카웃(Scout), (Team), 페이서(Pacer), 파이오니아 5444(Pioneer 5444), 드럼머(Drummor) 가 있으며, 많이 재배되는 품종은 버날, 루나, 파이오니아 5444

종자구입은 최소한 파종전 6개월 전에 종자량과 품종을 축협에 신청하면 구입 가능함

 

. 파종시기 및 파종량

일반경작지의 경우는 퇴비살포→ 경운→ 석회시용→정지작업→ 시비→ 파 종→ 갈퀴질→ 진압

산지 신규조성지의 경우는 선점식생제거→ 석회시용→ 시비→ 갈퀴질→ 파 종→ 갈퀴질→ 진압

파종방법은 기계에 의한 조파가 유리하나 산지와 같은 경사지나 지형이 불 균일한 지역은 겉뿌림산파가 일반적이다. 파종방법에 따라 잡초발생과 수량 에 차이가 있으므로 파종시 정착이 잘되게 해야한다.

 

1. 파종방법에 따른 알팔파 건물수량 및 잡초발생

파종방법알팔파

건물수량(Kg/ha),

잡초발생(%)

겉뿌림

2,813 (100)

58

겉뿌림+갈퀴질

3,295 (117)

51

겉뿌림+갈퀴질+진압

4,613 (164)

40

경운+산파+진압

10,128 (359)

12

경운+조파+진압

9,050 (327)

3

자료 : 이 및 서(1991)

 

 

         그림 1. 알팔파 재배시의 석회사용 근류균 접종 효과

 

2. 알팔파 근류균 접종

. 접종의 필요성

근류균이 공기중의 불활성 질소(N2)를 암모니아태 질소(NH3-N)로 전환 ⇒ 알팔파가 질소 이용함으로 질소비료 절감가능.

알팔파가 재배된 적이 없는 지역이나 질소 고정능력이 없는 무효균이 번성 한 지역은 알팔파 생육이 불량함

알팔파 품종과 근류균 strain간에 적합성이 높은 것이 질소 고정효과가 높음

근류균이 두과작물의 뿌리썩음병(Phytophthora megasperma)의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내 독소를 파괴하여 알팔파 생장에 좋은 조건을 만들어줌으로 알팔파 영속적인 생육과 수량증대에 근류균 접종은 필수적임.

 

2. 근류균 밀도와 두과작물 뿌리썩음병과의 관계

토양내 뿌리썩음병 밀도(V/V)

근류균의 밀도 / 토양 cm3

104

103

102

101

0

생초수량(g)

0

33.1

23.9

19.0

18.3

18.4

10-4

21.4

19.5

17.5

17.8

17.2

10-3

19.9

17.8

16.7

16.8

15.2

10-2

17.7

16.4

15.0

15.0

14.3

10-1

13.4

13.3

12.6

12.3

11.2

발병지수

0

0

0

0

0

0

10-4

0.2

0.5

1.5

2.2

2.5

10-3

2.0

3.8

4.2

6.3

7.2

10-2

5.5

6.5

7.2

8.0

8.5

10-1

6.1

7.5

8.0

8.3

9.0

 

) 0 : 무발병, 5 : 5%발병, 9 : 100%발병
자료 : Tu(1978)

 

. 근류균제 보관 및 접종방법

근류균제는 농가에서 구입 후 냉장고(4)에 보관하는 것이 근류균의 밀도 유지에 효과적임

근류균은 건조와 직사광선에 약함으로 접종 시 주의해야함

토양이 척박하고 산성이 강하고 건조한 경우에는 유기물이 풍부하고 습도 유지가 좋은 지역보다 근류균 접종량이 많아야함

파종시에 근류균을 접종하지 못하였거나 접종을 하였으나 실패한 경우에는 알팔파 출현 후 4주 이내에 토양수분이 충분하고 흐린날 근류균제와 토양을 혼합하여 살포하는 것이 좋음

축산연구소(1994)에서 개발한 벤토나이트와 버미큘라이트 혼합근류균제 는 토양과 혼합하여 살포하거나 종자와 혼합하여 접종이 가능함

벤토나이트+버미큘라이트 종자접종방법은 혼합 근류균제 3g + 4ml + 종자 20 g 비율로 혼합하여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 파종하거나 냉장고에 보관 (유효보관기간 : 80)

벤토나이트 + 버미큘라이트 혼합 근류균제의 접종량은 ha 2~4 kg

 

       그림 2. 알팔파 재배시의 알팔파 근류균 접종

 

3. 근류균접종제 보관온도별 근류균 밀도변화

(단위 : CFU X 108/g 접종제)

접종제

온도 (°C)

보관기관

조제직후

1개월

2개월

4개월

6개월

12개월

Peat+CaCo3 5%+자당 0.5%

25

35.4

14.8

17.5

5.3

4.0

0.5

4

35.4

30.4

29.4

17.7

13.3

9.0

우분발효톱밥+자당 0.5%

25

85.7

80.4

77.5

24.1

8.3

0.8

4

85.7

78.3

75.4

44.8

36.5

15.8

벤토나이트+버미큘라이트+자당 1%

25

8.3

8.5

8.2

5.5

2.8

1.0

4

8.3

8.6

7.6

4.9

5.1

3.5

 

자료 : 축산연(1994)

4. 알팔파근류균 접종효과

근류균제 접종량(kg/ha)

근류형성율(%)

건물수량(kg/ha)

무접종

5

2361(100)

우분발효톱밥제2

95

4994(210)

우분발효톱밥제4

100

6333(270)

우분발효톱밥제6

100

58555(250)

벤토나이트+버미큘라이트제2

95

5716(240)

벤토나이트+버미큘라이트제4

100

6314(260)

벤토나이트+버미큘라이트제6

100

7435(310)

자료 : 축산연(1994)

 

5. Bentonite+vermiculite(25:75)혼합 근류균제로 접종한 종자에서 균밀도 변화

(단위 : CFU X 103/종자)

보관온도(°C)

보관기간()

0

5

10

20

40

80

4

7.00

5.05

5.18

4.20

4.00

1.63

25

7.00

2.48

2.18

0.60

0.30

0.13

35

7.00

1.88

1.48

0.02

-

-

 

3. 재배관리

. 관리비료 시용

질소는 시용하지않고 인산비료는 이른봄과 3차수확 후 각각 ha75kg을 시용함

칼리비료는 이른봄과 매 수확 후 ha40~50kg을 시용함

붕소는 조성 후 2~3년마다 봄에 붕사로 ha20kg을 시용하면 붕소결핍을 예방함

이용연한을 길게하고 충분한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농용석회를 2~3년마다 ha500~1000kg을 시용함

 

6. 혼파초지에서 시비조절에 따른 알팔파 식생비율의 변화

(단위 : %)

관리비료

1년차

2년차

3년차

평균

NPK시용

2.0

4

+

2

시비조절1*

1.8

32

35

23

시비조절2**

1.8

38

38

26

1) * : 인산100ppm+석회요구량+붕사20kg/ha, NK2O는 관행
2) ** : 인산200ppm+ " + " "

 

. 알팔파 예취

1차 수확 시기는 건물수량, 영양성분 및 재생을 고려할 때 개화가 10% 정도 일 때이며 예취높이는 10 cm정도로 높게 예취하는 것이 유리함

2, 3차 예취는 만개기에 예취높이는 5~6cm 정도로 하고 마지막예취는 서리가 올것으로 예상되는 날로부터 40일 전에 하는 것이 월동에 유리함

예취를 너무 일찍하면 포기수가 줄어들어 이용연한이 짧아지고 너무 늦게하면 이용연한은 길어지고 수량은 많으나 목초의 질이 낮아짐으로 목초의 품질과 수량을 고려하여 결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