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엽잡초

여 뀌 (Persicaria hydropiper Spach)

성식물
  ○ 발생지 : 논, 습지, 강변 등지

○ 습  성 : 종자 및 분주에 의하여 번식하는 1년생으로 논에 많이 발생하며 보통 4월경부터 발생하는 강해초이다. 씹으면 매운 맛이 있다. 전국각처의 논이나 밭근처의 습지나 냇가에서 많이 발생한다.
꽃 및 종자  

○ 형  태 : 마디풀과에 속하며 신체, 어독초, 장수료, 개여뀌, 버들여뀌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광택이 있고 줄기는 직립하지만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근처에서 지면을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윗부분은 비스듬히 올라간다. 줄기의 높이는 40∼60㎝이고 딱딱하며 마디가 굵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이며 엽병이 없으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3∼12㎝, 나비 1∼3㎝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작은 선점이 밀생한다.

○ 방제방법
: 종자발아시 산소요구도가 높으며 인산과 칼리성분이 부족한 토양에서 많이 발생되므로 토양내 양분균형을 유지하면서 작물을 심기 전에 10∼15일 간격으로 2∼3회 경운을 실시하거나 어릴 때 제거해야 효과가 높으며 초기 토양처리형 제초제를 살포하거나 후기에 문제가 될 경우는 밧사그란, 정일품 등을 살포한다.

 
유식물(1엽기) 유식물(2~3엽기)  
 
유식물(논) 개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