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서초구

매실매실나무의 가지가 고사하고 생육이 불량해요

  • 기술지원일 2018-08-02
  • 작성자 고호철
  • 조회수 1,945

현장기술지원 개요

  • 일시2018. 7. 2(월)
  • 장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114-1 번지(과수원)
  • 출장자고객지원담당관실 김쌍수 농촌지도관, 김점국⋅고만건, 기술위원

    현지 조사협조 :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진우용 팀장 외 1인

영농현황

  • 농 가 명 :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김 ○ ○ 농가
  • 재배작물 : 매실 (약 8년생)
  • 재배품종 : 품종미상
  • 재배면적 : 33,00㎡(약 1,000평)

농가의견

  • 매실나무가 생육이 약해지면서 나무 전체가 고사되는 피해가 발생되고 있음.
  • 이와 같은 피해가 화상병으로 의심되고 있어 정확한 피해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기술지원을 의뢰함.

현지 조사결과

  • 민원농가 과수원은 논을 성토하여 개원한 과원으로 성토한 토양은 점토함량 10% 내외인 사양토~사토로, 투수성은 양호하나 양⋅수분 보유능력이 극히 낮으며, 과원 내 부분적으로 쐬뜨기 잡초가 자라고 토양에 이끼와 수생식물이 자라는 것으로 보아 배수상태는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 매실나무는 양방향 재식거리가 약1.5m 정도의 초밀식된 과원으로 지나치게 강 전정하여 나무 나이에 비해 수관 폭과 원줄기 직경이 극히 작고, 원줄기 수피 색깔이 검고 이끼가 낀 것 등으로 보아 나무의 생육 및 영양 상태는 매우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 매실나무 피해상태를 조사한 결과, 생육이 불량한 나무는 발아, 전엽(展葉)이후 전혀 새가지(도장지)가 자라지 못하고 생육이 멈춘 상태였으며, 과원 내 부분적으로 지상부 가지 전체가 고사된 나무가 많았음.
  • 이들 생육이 불량한 나무와 고사된 나무의 지하부 뿌리를 조사한 결과 굵은 뿌리 모두 수피가 갈변 고사되어 있었으며, 고사된 뿌리에서 흰날개무늬병 등의 병해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 대부분의 나무에서 깍지벌레 피해가 많고, 나무내부에는 고사한 짧은 가지가 많았음.

종합 검토의견

  • 과수가 고사되는 주원인은 습해, 동해 및 토양병해(흰날개 무늬병, 역병 등)에 의해 피해를 받았을 때 고사하게 되는데, 습해나 토양병해의 경우는 지하부 뿌리가 먼저 썩으면서 지상부가 2차적으로 고사되는 반면, 동해를 받았을 경우는 지하부 뿌리는 피해가 없고 지상부가 피해를 받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따라서 민원농가 매실나무의 피해증상 즉 생육이 불량한 나무 및 고사나무 모두 지하부 뿌리가 갈변 고사되고, 고사된 뿌리에서 병해피해증상이 관찰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동해 및 토양병해(흰날개무늬병, 역병)에 의한 피해는 아닌 것으로 판단됨.
  • 한편, 매실 등의 핵과류는 다른 과종에 비해 습해에 약한 과종으로, 민원농가 과수원 토양의 양분보유능력이 낮은 상태에서 유기물시용 부족, 깍지벌레 피해, 밀식에 의한 매년 강 전정이 반복되어 나무의 뿌리 발육과 영양상태가 나빠진 상태에서 생육기 연속적인 강우 등으로 인해 뿌리가 쉽게 수분장해를 받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 이와 같은 수분장해는 과원 위치로 보아 강우 시 주위로부터 유거수나 지하수가 유입되어 습해가 발생된 것으로 추정됨.

금후 기술지도

  • 현재상태의 재식거리에서는 정상적인 재배관리가 어려우므로 우선 재식거리가 6?5m 또는 5?4m 되게 간벌하여 강 전정이 되지 않도록 하여 나무 수세와 영양 상태를 건전하게 유지 관리할 것과,
  • 토양 특성상 간벌 후는 나무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유기물을 시용하여 뿌리 발육을 좋게 할 것을 권장함.
  • 또한, 습해방지를 위해 과원 주위 도랑을 깊게 파 강우 시는 주위로부터 유거수와 지하수가 과수원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것을 권장함.

관련 사진

민원농가 매실나무 생육상태민원농가 매실나무 생육상태매실나무 고사상태매실나무 고사상태생육불량나무 원줄기, 뿌리 수피 고사상태생육불량나무 원줄기, 뿌리 수피 고사상태매실나무 원줄기 상태매실나무 원줄기 상태과수원 내 쐬뜨기 생육상태과수원 내 쐬뜨기 생육상태과수원 내 이끼 생육상태과수원 내 이끼 생육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