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건강지킴이, 들깨

  • 작성자이명희 등(emhee@korea.kr)
  • 평점 5점/5점만점(rda.go.kr회원13분이평가한점수입니다.)

요약

1. 들깨의 정체
우리나라 대표 유지작물 중 하나인 들깨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인 꿀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로 같은 종에 속하는 차조기와 함께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들깨는 종자가 굵고 잎의 향기가 연하여 식용
으로 적당하며, 목적에 따라 종자를 생산하는 종실들깨와 깻잎을 수확하는 잎들깨로
구분된다. 봄에 파종하여 가을에 종실을 맺는 여름작물로서 물 빠짐이 좋은 토양이
라면 다소 척박하더라도 잘 자라는 식물로, 심는 시기에 관계없이 꽃이 피는 날짜가
일정할 정도로 낮의 길이를 인지하는 생체시계가 정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한국인의 건강을 지켜온 들깨
필수지방산이 풍부한 들기름과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깻잎은 우리 몸의
기능을 개선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는 데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의 혈중 콜레스테롤 경감과 뇌 기능 촉진, 로즈마린산의
알레르기성 비염 및 결막염 등의 염증반응경감 효능은 주목할 만하다. 종실은
기름이나 가루로 깻잎은 쌈 채소로 전통음식뿐만 아니라 새롭게 선보이는 퓨전
음식에 고루 이용되고 있으며, 가공식품의 형태로도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깻잎에 많은 로즈마린산, 비타민 E 등 피부에 도움을 주는 성분은 여성의
미용을 위한 제품으로 재탄생되고 있다. 그 외에도, 기름종이, 페인트, 인쇄 잉크,
칠감, 방수용구 등의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기름을 짜고 난 깻묵은 단백질이
풍부하여 가축사료와 유기질 비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중국, 인도, 일본, 태국,
우리나라 등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나, 대량소비를 목적으로 생산되는 경우는
적은 편이다. 우리나라 들깨 생산은 종실들깨가 1,713억 원(’12년), 잎들깨가 1,134억 원
(‘11년) 규모로 고기 소비의 증가와 건강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 시사점
농업과 국민건강 해결 노력의 콜래보레이션 일환으로 들깨 관련 농산업을 유아
식품업계, 학교급식, 복지수혜대상자의 지원 등과도 연계한다면 새로운 농업의
가치창출도 가능하다. 또한, 들깨로 특화된 지자체가 지역의 학교, 복지시설 등에
농산물과 농사체험 등을 지원하는 지역네트워크를 결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품종, 간편 농기구 및 간이 텃밭, 교육효과 등의 연구가 정부, 대학, 산업체
등이 공동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Ⅰ. 들깨의 정체·············································1
Ⅱ. 한국인의 건강을 지켜온 들깨··············7
Ⅲ. 시사점·····················································16
본문의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포함된 사진과 이미지는 인테러뱅에만 사용하도록 허락을 받은 것으로 저작권 침해의 우려가 있어 홈페이지 및 모바일 홈페이지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한국인의 건강지킴이, 들깨2013. 12. 18.

우리나라 대표 유지작물 중 하나인 들깨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인 꿀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로 같은 종에 속하는 차조기와 함께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들깨는 종자가 굵고 잎의 향기가 연하여 식용으로 적당하며, 목적에 따라 종자를 생산하는 종실들깨와 깻잎을 수확하는 잎들깨로 구분된다.

115
  • 들깨로 특화된 지자체가 지역의 학교, 북지시설 등에 농산물과 농사체험 등을 지원하는 지역네트워크를 결성
    • 이를 위한 품종, 간편 농기구 및 간이 텃밭, 교육효과 등의 연구는 정부, 대학, 산업체 등의 공동연구로 추진
      • 건강한 농산물, 신뢰받는 생산자, 믿고 찾는 소비자의 확실한 연계 구축 뿐 아니라 도농생활공동체 형성으로 농산업의 외연이 확대
    • 시범지역의 성공여부에 따라 복지정책, 일자리 창출, 농촌기업창업 등의 정책수단과 연결하여 확대 가능성도 검토

      기술을 넘어 기획부터 활용까지 일관화된 연구정책 모델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