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양비료
  • 토양조사
토지 이용률을 높이는 토양 조사 방법 바로알기 - 토양 물리성 조사 방법

우리는 농사를 지으면서 땅에 비료를 줄 때는 그 작물이 어떤 비료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지금 땅 속에는 그 비료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에서 얼마나 부족한지를 꼼꼼히 따져보고 비료를 주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일 것이다. 이에 기초 토양 조사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국립농업과학원
  • 2020 년
  • 117
시나리오

3. 토양 물리성 조사 방법

토양 물리성 조사는 뿌리 호흡과 뻗음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통기성과 토양 다짐층 유무 그리고 깊이를 측정하는 작업을 말하는데요.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조사 시기

먼저 조사 할 때는 토양수분이 너무 많거나 적은 날은 피하고, 농기계 등으로 경운이 되거나 다짐이 된 경우, 그리고 토양이 얼어 있는 시기에는 실시하지 않습니다.

나. 조사 지점

조사지점은 기계적 다짐의 영향이 가장 적은 이랑과 고랑사이 또는 작물과 작물 사이가 적당한데요. 밭의 경우, 이랑과 고랑의 1/2높이를 표토조사 기준면으로 표토 시료를 채취하고, 작토심을 측정해야 합니다.
또, 과수원은 과수 기지의 1/2되는 지점을 조사해 샘플을 채취하고, 논은 벼 포기와 포기 사이, 시설재배지는 작물과 작물사이 이랑의 표토를 조사합니다.

다. 시료채취

시료는 표토층 시료와 심토층 시료가 필요한데요. 이를 위해 탐침봉과 100ml짜리 메탈링, 샘플러, 망치와 삽, 토양 칼을 준비합니다. 이후 탐침봉을 조사지점에 놓고 한손으로 일정한 힘을 주어 서서히 눌렀을 때 침이 들어가다가 멈춘 깊이까지가 표토층이고, 이후는 심토층인데요. 표토층과 심토층이 구분되면, 토양표면의 유기물과 표면 3∼5cm가량을 걷어내고 편편하게 정리한 후, 메탈링 3개를 토양 위에 놓습니다.
이후 샘플러를 메탈링 위에 놓고 망치로 조금씩 때려 넣어주는데요. 이때, 토양이 다져지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메탈링이 완전히 땅에 박히면 삽으로 메탈링을 떠내고, 토양 칼로 메탈링 표면과 일치하게 주의하여 조금씩 다듬고 뚜껑을 닫으면 시료 채취가 완료됩니다.
시료채취 및 다듬는 과정에서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토양이 더 다져지거나(강조) 또는 손실되지 않게(강조) 하는 것입니다.
심토층은 탐칭봉이 멈춘 깊이보다 3∼5cm가량의 토양을 더 걷어내고 표토층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시료채취를 실시합니다.

라. 측정

채취한 시료는 실험실로 옮겨 건조 전 토양의 무게와 건조 후 토양무게 그리고 입자밀도와 물의 밀도를 측정하는데요. 측정된 데이터는 용적밀도와 고상률, 공극률과 액상률 그리고 기상률을 계산하는데 이용되고, 이 수치들은 토양의 통기성과 다짐 정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농경지 땅 속 상태를 훤히 들여다 볼 수 있는 기초토양조사와 토양물리성조사는 작물의 선택과 적절한 비료 사용 그리고 토양환경 개선에 큰 도움을 주는데요. 풍년 농사를 원하신다면, 흙토람 사이트에서 토양특성 정보과 토양 물리성을 먼저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