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양비료
  • 토양조사
토지 이용률을 높이는 토양 조사 방법 바로알기 - 토양색을 결정하는 인자

우리는 농사를 지으면서 땅에 비료를 줄 때는 그 작물이 어떤 비료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지금 땅 속에는 그 비료가 얼마나 들어 있는지, 작물이 필요로 하는 양에서 얼마나 부족한지를 꼼꼼히 따져보고 비료를 주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일 것이다. 이에 기초 토양 조사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국립농업과학원
  • 2020 년
  • 208
시나리오

2. 토양색을 결정하는 인자
토양색을 보면 토양의 유기물 정도나 배수 상태를 알 수 있는데요. 이러한 토양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유기물, 산화환원상태, 수분 등입니다. 따라서 토양색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배수등급입니다.
토양배수등급은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유거), 물이 스며드는 량(투수), 그리고 지하수위 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매우양호, 양호 등 6개 등급으로 구분하는데요. 배수등급이 불량한 토양은 회색과 암회색을 띄고, 배수등급이 양호한 토양은 갈색과 황갈색을 띱니다. 그리고 토양 유기물은 암갈색 내지 흑색을 띠며 유기물이 많은 토양일수록 어두운 색이 나타납니다. 또한, 산화환원 조건에 따라서도 토양색이 달라지는데요. 철과 망간은 산화조건일때는 붉은색을 띠며, 환원조건일때는 청회색 또는 녹색을 띱니다. 토색첩을 보는 방법은 토양시료를 채취해 토색책을 보면서 비슷한 색을 찾아 명도, 채도 그리고 주색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