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공학
  • 경운정지기계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 국립축산과학원
  • 2020 년
  • 1,215
시나리오

안녕하세요.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박미나 연구관입니다.

한우 개량에 관심 있는 농가라면

우리 농가 암소에 꼭 알맞은 정액 선택을 고민하게 되는데요.

인기 있는 정액은 당첨이 어렵고

옆집에 좋은 정액이라고 꼭 우리 농장에 좋은 것은 아닙니다.

이렇게 고민 될 때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보급하고 있는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프로그램 및 책자를 활용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한우 개량의 기본은 내가 가지고 있는 암소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알맞은 정액을 선택해서 앞으로 태어날 송아지의 능력을

부모세대보다 향상 시키는 데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유하고 있는 암소의 장점과 단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단점을 보완하거나 또는 장점을 강화하면서도

근교계수가 크게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계획교배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농가단위 개량을 할 때 또한 중요하게 생각할 부분은 목표 설정입니다.

보통 농가에서는 일반적으로 좋다고 하는 정액을 선호해서

내 암소와 상관없이 계획교배를 하시는데요.

그렇게 하시는 방법보다 5년 10년 뒤에 목표 설정을 뚜렷하게 하시고

이를 개량에 접목 시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지금부터 계획교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농가별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계획교배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프로그램은

국립축산과학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연구 활동-농가활용프로그램을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제일 최근에 게시된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이번 8월에 새롭게 개발한 28호를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첨부파일에 프로그램 매뉴얼과 엑셀 프로그램이 있는데요.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매뉴얼 한글 파일을 천천히 읽으시면

프로그램 사용하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엑셀 프로그램을 먼저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열게 되면

처음 화면 상단에 보안 경고라는 문구가 뜨게 되는데요.

이때는 콘텐츠 사용을 허용해 주셔야 합니다.

지금 계획교배 계산을 위해서 매크로라는 프로그램이 돌고 있는데요.

이것은 반드시 컨텐츠 허용을 해야

이 암소의 능력, 태어날 송아지의 유전능력이 계산됩니다.



농장암소 시트에 암소개체번호를 입력하고

보유정액이 있으시면 보유정액을 입력하세요 라고

팝업창이 뜨면 확인을 누르시면 됩니다.



먼저 농장 암소 혈통입력하는 부분부터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암소 개체번호는 숫자로 입력을 하셔야 되고요.

이력번호 12자리를 입력하셔도 되고

또는 농가에서 구분하실 수 있는 어떠한 숫자도 가능합니다.

저는 쉽게 암소 개체번호를 1번 개체로 입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다음에 혈통은 아비 KPN, 외조부 KPN, 외외증조부 KPN

3대 혈통을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저는 임의로 1100번 1000번 900번을 입력 하겠습니다.

이 때 제가 KPN 숫자만 입력해도 KPN이란 영문자가 자동으로 붙었잖아요.

이렇게 KPN이 자동으로 붙는 걸 확인하면

지금 길라잡이 프로그램에 아까 컨텐츠 허용을 해서 매크로 계산이 되겠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암소의 3대 혈통을 입력하기 위해서

이를 찾아볼 수 있는 웹페이지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립축산과학원 홈페이지에 똑같이 접속을 하신 다음에

하단에 보면 원스톱한우개량정보조회 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편리한 게 이 페이지에서

유전정보, 혈통, 번식, 도축정보 이 4가지 정보를

한번에 찾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고요.

또 하나는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필요없이

개체 12자리 바코드 정보만 입력하면 쉽게 성적을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임의로 한 마리를 조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밑에 화면에서 혈통 정보를 클릭하면

개체의 부, 조부, 조모 모, 외조부, 외조모가 나오는데요.

저희가 입력할 3대 혈통이라고 하면

아버지 KPN 769번, 모의 외조부 KPN506이 외조부 KPN이 되고요

근데 이렇게 되면 2대 혈통이잖아요.

3대 외외증조부 혈통은 모의 개체식별번호를 한 번 더 클릭해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시 혈통 정보로 들어가서 모의 외조부

아까 처음에 모의 모의 외조부이기 때문에 외외증조부 혈통이 되고요

KPN248번 까지 3대 혈통을 입력하면

내가 보유하고 있는 암소의 능력도 예측할 수 있고

현재 판매되고 있는 정액하고 보유하고 있는 정액과의

계획교배를 프로그램에서 실행해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입력이 끝났으면 상단에 암소능력 계산 부분을 클릭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른쪽에 혈통을 통한 암소의 능력 추정치라고 해서

12개월령 체중, 도체형질, 체형에 대해서 성적이 뜨는데요.

각각의 값들과 괄호 안의 A.B.C.D를 참고해서

암소의 능력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농가에서 입력하실 부분은 보유정액 시트입니다.

3번째 시트로 이동해 보면 보유정액 KPN 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요.

우리 농가 또는 우리 농장의 수정을 해주시는

수정사가 보유하고 있는 보유정액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제가 이번에 후보정액 1300번을 구입했다 치고

입력을 해보면 여기에서도 자동으로 KPN이 당연히 붙어야 되고요.

이 정액에 대해서 EPD 즉 이 정액이 아빠로 사용되었을 때

송아지한테 물려줄 수 있는 유전능력 값이 표현되게 됩니다.

이 개체는 이 씨수소는 12개월 체중, 도체중, 등심, 등지방, 근내지방, 체고, 체장, 흉위의 성적을 볼 수 있고

등지방과 근내지방을 뺀 나머지 형질에서는 A등급

즉 상위 20% 이내의 유전능력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농장 암소 3대 혈통과 보유정액을 모두 입력하셨다면

이제 교배계획 시트로 넘어가서 실제 계획교배를 실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계획교배 시트에 보시면 처음 상단에 암소개체불러오기

즉 농장암소 정보를 불러온 다음에 결과조회를 눌러 보시면 됩니다.



이 결과 조회는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하나는 현재 8월 2020년 8월달에 판매되고 있는 150종에 정액과의 계획교배 결과를 보여주고요.

두 번째 보유정액을 클릭하고 결과조회를 누르면

아까 보유정액 시트에서 입력했던 내가 가지고 있는

정액과의 계획교배 결과를 보여주게 됩니다.



먼저 판매정액과의 결과조회를 좀 자세하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암소개체 1번에 대해서 현재 판매되고 있는

보증 및 후보 정액 150종과의 계획교배 결과는

아래 화면처럼 쭉 확인을 하실 수 있고요.

여기서 먼저 보셔야 될 건 일단 근교계수입니다.

3.125%, 6.25%, 12.5%를 기준으로 주의, 위험, 경고가

노랑색, 주황색, 빨간색으로 표시가 되고요.

일반적으로 두자리수 이상의 근교계수는 위험하니 사용을 지양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선발지수와 각 형질별 태어날 송아지의 능력 예측치를 보시면

색깔로 표시된 부분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선발지수 중에서 상위 10개 각 형질별로 상위 10개에 대해서

이렇게 색깔로 표시를 하고 있습니다.



보유정액도 결과를 보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정액선택방법에서 보유정액을 클릭하고 결과조회를 하면

처음에 입력했던 KPN1300번과 내가 가지고 있는 암소 1번 개체와의

근교계수는 0.8%, 선발지수, 12개월 체중, 도체형질, 체형형질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유전능력과 그 유전능력이 갖고 있는 등급 A, B, C, D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혈통을 통한 자손의 능력 예측치를 자세히 한번 살펴 보면

암소 1번 개체에 KPN1300번 정액을 교배해서 태어날 송아지 같은 경우

12개월 체중에 유전능력은 33Kg, 도체중 38kg, 등심단명적 6.921㎠ 등

각각의 유전능력 값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요.

상위 20%를 A, 그 다음 25% B, 그 다음 25% C

하위 30%를 D 이렇게 4개 등급으로 나누는데

이것은 농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A,B,C,D 등급을 나눠 놓은 것이고요.

근데 중요한 건 실제 육종가 값을 보셔야 한다는 겁니다.

만약에 도체중 A등급의 커트라인이 38이라고 하면

방금 여기 38.043은 A등급으로 표시가 되지만 37.999는 B로 표시가 됩니다.

근데 실제로 보면 A, B로 보면 굉장히 큰 차이 같지만

실제 육종가 값을 보면은 사실은 거의 비슷한 능력임을 확인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쉽게 A,B,C,D로만 하시지만 그러기 보다는

정확하게 육종가 값을 보시는 게 농가 개량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농가개량에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할 수 있는

나만의 선발지수 만들기 부분을 설명 드리도록 할텐데요.

이 부분이 가장 이 프로그램 활용에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이 들고요.

일단 다시 판매정액 결과 조회로 넘어가서 자세히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나만의 선발지수 만들기는 기본적으로

12개월 체중, 도체형질 4가지에 대해서 기본값인 1로 세팅이 되어 있습니다.

이 의미는 이 다섯 가지 형질이 특별한 어느 형질에 중요도를 주지 않고

동일하게 고려한 5개 선발지수를 계산하라는 의미입니다.



근데 농가별로 개량목표 설정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잖아요.

그래서 만약에 우리집 농가 암소의 특성을 봤더니

육질등급은 괜찮게 나오는데 체중이 좀 작은 것을 보완하고 싶으면

도체중이나 12개월 체중쪽에 중요도를 실어 주셔야 됩니다.

그것은 가중치를 설정하시면 되는데

사실 선발지수에 정답은 없지만 저라면 도체중에 가중치를 둔다면

한 5정도의 가중치를 두고 시작을 할 것 같고요.

이렇게 해서 결과조회를 누르면

실제 선발지수 가중치가 반영돼서 계산 결과가 달라지게 되고요.

실제 아까 판매되는 150개 정액 중에서 상위 10개 선발지수가 높은 10개에

분홍색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를 하게 되는데

이부분에 정액 번호가 바뀌어 있게 됩니다.

즉 색깔이 있는 정액을 선택하면

내가 아까 체중을 크게 키우고 싶다는

개량 목표에 접근할 수 있는 개량을 해나가게 되는 것이죠



또는 체중도 키우면서 육질도 함께 키우고 싶다고 하면

근내지방도에 가중치를 동일하게 주셔도 됩니다.

저는 이렇게 가중치를 주고 다시 결과를 조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또 선발지수가 완전히 다른 값으로 바뀌었죠



등지방 두께의 경우 얇은 것이 개량 목표라 할 수 있겠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등지방두께에 선발지수 가중치를 설정하신다면

마이너스 값으로 가중치를 주시면 됩니다.

체중은 크게 좋게 잘 나오는데 등지방이 너무 두꺼워서

육량지수가 조금 떨어진다고 생각 되신다면

등지방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예를 들어 ?3 이런 식으로 가중치를 주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농가별로 내가 앞으로 우리 암소 축군을

어떻게 가져가지고 가겠다는 목표가 뚜렷해야 하고요.



개량은 절대 한번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습니다.

적어도 5년 10년의 방향을 보고 설정을 하셔야 하고

이대로 쭉 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시면

10년 후에는 농가에서 원하는 암소를 만드시고

개량 목표를 달성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책자 및 프로그램은

매년 2월, 8월달에 6개월 단위로 최신호가 개발되어 배포됩니다.

매 최신호에서는 신규로 선발된 씨수소 유전능력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계획교배 활용 시 가장 최신호를 사용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 활용 가이드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