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선택

    우리나라의 경우 1972년 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시험재배를 거쳐 1976년부터 재배·보급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가장 널리 재배되는 Sparkle품종을 대체하고자 1998년부터 영남농업시험장에서 완두 품종육성사업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1994년 사철완두를 육성한 이래 밀식, 단경, 무지주 재배에 적합한 대협완두(1997) 및 풋협 수화기가 도입중인 Sparkle 보다 빠르며 동시에 많이 수확할 수 있는 올완두(1998년)를 육성 보급해 오고 있다. 


 올완두와 스파클의 품종 특성 비교

품종명

초     형

화 색

협의곡선

(1-9)

개화기

(월.일)

성숙기

(월.일)

탁   엽

소   엽

올완두

스파클

1

1

4.28

5.  1

5.28

6.  2



 

품종명

협실비율(%)

수확비율(%)

풋      콩

100립중

풋협수량

(kg/10a)

4립이하

5~6

7립이상

1차

2차

올완두

스파클

31

56

55

34

14

10

94

73

  6

27

4.28

5.  1

1,091

  857





  파종 및 시비


       파종

      종자는 무병개체에서 충실하게 성숙한 것을 채종하고 소독한 후 파종한다. 파종기는 중부지방에서는 3월 하순 내지 4월 상순이지만 남부지방에서는 답리작으로 9월 중·하순에 추파하기도 한다.
재식밀도는 만성종의 경우 이랑나비 60cm에 포기사이 60cm로 하고, 왜성종은 20cm 정도로 하여 2~3립씩 점파하며, 파종량은 10a 당 6~7ℓ가 알맞다.




       시비

      완두는 비료 3요소의 흡수비율이 팥과 비슷하고 비교적 많은 비료를 필요로 하므로 상당량의 비료를 사용해야 한다. 대체로 10a당 질소 5kg, 인산 10-15kg, 칼리 10kg 정도를 전량 기비로 사용한다.
그밖의 관리는 대체로 강낭콩에 준하며,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지주를 세워 주어야 한다.





  재배작형

    완두의 생육적온은 10∼20℃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재배의 전기간을 이 적온기에 맞추어 생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비교적 영향이 적은 유식물기를 저온에서 보내고 개화부터 결협기가 적온기에 들도록 파종기를 조절해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지역에서 몇 개의 작형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지역에 가장 유리한 작형은 저절로 정해진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완두의 작형으로는 춘,추파가 매우 표준적인 작형이지만 5월하순 이후의 출하는 가격이 낮아 소득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가격이 높은 3∼4월에 풋완두를 생산하기 위하여 동계 비닐하우스재배가 주목적으로 끌고 있다.

 

ball03e.gif 춘파

  월동이 곤란하고 답리작이 어려운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작형으로 가격면에서 불리하다. 그러나 반촉성이나 조식재배에 의한 수량성 증대 및 조기 수확 등으로 소득을 올리 수 있는 재배방법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all03e.gif 추파

  내한성이 강한 어린시기에 겨울을 넘겨서 봄에 기온상승과 함께 급속히 신장 개화 결실을 하는 것이다. 월동 가능한 남부지방에서 일부 행해지고 있으며 수확을 전후해 기온과 강우에 의해 수량이 좌우된다.

 

ball03e.gif 시설하우스

  풋완두의 조기출하를 위하여 11월중,하순에 파종하여 다음에 3월경에 수확하는 작형으로 무기온,가온하우스재배가 있다. 무가온하우스 재배는 남부 해안 일부 지역으로 한정되며 가온하우스의 경우는 5℃이상이 유지 되도록 하우스를 관리한다.

  완두의 유식물은 저온에 잘 견디지만 꽃과 꼬투리는 냉해를 입기 쉬우으로 무가온하우스재배에서 특히 유의하여 한다. 냉해를 입은 꼬투리에는 흰반점이 생기며 생육이 진행되어 완전한 풋완두을 수확할 수 있어도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한편 냉해를 입은 꽃은 낙화되므로 피해가 더욱 심하다.

우리나라에서는 4월초순에 흔히 꽃샘추위가 오는데 이시기는 무가온 하우스에서 2·3중 비닐을 벗긴 상태이므로 일기예보에 유의하여 냉해방지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재배관리

ball03e.gif  완두의 시비량은 10a당 요소8.7kg, 용인 50kg, 염화가리 16.7kg을 기비로 모두 시용한다.

  

   토질은 배수가 좋은 질참흙 또는 참흙이 적당하고 산성토양에는 생육이 부진하므로 약산성 또는

   알칼리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석회를 300평당 150kg정도 사용함)

 

ball03e.gif     병·해충의 피해는 별로 없고 주로 습기가 많을 때 발생하는 흰가루병,콩알을 파먹는 완두 바구미가

   있으며, 방제대책으로는 윤작을 하거나 발생초기에 살균제 살충제를 살포하면 된다.

 

ball03e.gif    풋완두 출하시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므로 생산물은 당일에 출하할  수 있는 거리에서 재배하는 것

  이 유리하다. 완두의 줄기는 덩굴성이므로 결협기 이후부터 도복되기 시작하여 지면에 닿은 꼬투리

  가 부패하는 경우가 많다.

 

ball03e.gif    농가에서 주로 재배하는 품종들은 경장이 80cm내외가 되는데 지주를 설치하여 재배하면 수량성,고

  품질,조기수확 등 유리한 점이 많으나 노력이 많이든다.

 

ball03e.gif    완두 덩굴을 유인하는 방법은 농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무지주, 바인더줄 유인, 망유인등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표2). 망으로 유인하였을 경우 풋완두 수량의 증수를 기대할 수 있다.

                                               

    flo01b.gif 지주설치 및 재식거리별 수량성(식량원, ′95)

구    분

풋완두100립중
(g)

풋 완 두 수 량 (kg/10a)

a + b

1차수확
(a)

2차수확
(b)

3차수확
(c)


(c)

지 수

c(%)

지주형태
무지주
줄설치
망설치


44.1
46.4
47.8


99
452
481


398
412
547


586
401
458


1,083b
1,265ab
1,486a


100
117
137


46
68
69

재식거리(cm)
60 x 10
60 x(10+10)
75 x(20+10)
45 x 10 


46.3
46.6
45.8
45.7


287
370
367
352


414
496
356
542


447
457
453
469


1,148c
1,373b
1,176c
1,463a


100
115
102
127


61
65
61
61



 

ball03e.gif     풋완두는 출하시기의 조만에 따라 가격차가 현저하므로 망으로 유인하면 풋완두 수량 증수와 함께 조기

수확량이 많아져 소득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완두는 밀식에 의해 증수할 수 있으나 최소한의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휴폭 60cm이상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병해충방제

    완두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에는 바이러스병·갈색무늬병·흰가루병·뿌리썩음병·녹병등이 있고, 충해로는 완두콩바구미와 그밖에 팥에서와 같은 충해가 발생하므로 팥에 준하여 방제한다.


  수확탈곡제

  완두는 팥,녹두, 동부 등 다른 두과 작물과 마찬가지로 종자 저장중 바구미에 의한 피해가 심각하여 발아에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자가 채종에 의한 종자 생산을 거의 하지 않고 매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나 약제에 의한 바구미 방제만 잘 하면 자가 채종 종자 이용에 문제가 없다.

 

    flo01b.gif 파종용 완두 종자 저장중 바구미 발생에 대한 약제 방제 효과(′83-′84충북도원)

약  제  처  리

발  아   율 (%)

바구미피해율(%)

무 처 리
지오릭스분제
아시트분제
그로프분제

96
89
94
93

33.5
3.7
9.3
7.7



   * 수확 후 종자 1kg당 4g의 약제 분의 처리

 

    flo01b.gif 완두 종자가 채종 종자 이용시 발아율 및 수량비고(′90-′91)

구   분

3년재배종자

2년재배종자

1년재배종자

당년수입종자

발아율(%)

93

95

97

96

수량(풋콩kg/10a)

1,306(93)

1,357(96)

1,393(99)

1,40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