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양상
1. 거세미 나방의 피해양상
거세미나방류에는 거세미나방(Agrotis segetum), 숯검은밤나방(Agrotis tokionis),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등 여러종류가 피해를 주며, 그 기주로는 참깨, 고추, 담배, 토마토, 오이, 콩, 감자, 가지 등임. 토양의 표토 부위에서 살면서 지표면 가까운 작물과 묘목의 줄기나 순을 자르고 땅속으로 끌어들여 가해한다. 특히 밤에 고추, 토마토, 가지, 감자, 배추 등의 채소류와 참깨, 담배 등 밭작물 재배초기에 어린묘의 줄기나 순을 자르고 땅속으로 끌어들여 가해하여 치명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에 밤도둑벌레라는 뜻으로 야도충(夜盜蟲)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거세미나방의 종류 및 점유비율>
종 명 숯검은밤나방 거세미나방 검거세미나방
점유율(%) 80.9 12.2 6.9
 
2. 생태
숯검은밤나방은 1년에 1회 발생한다. 성충은 9월 중순부터 10월 하순에 걸쳐 발생하는데 9월 하순이 발생최성기이다.
 
<거세미나방류의 각태별 기간>
거세미나방종류 난기간 유충기간 용기간 성충기간
숯검은밤나방 6~10(6.3) 315~334(327.1) 21~31(25.1) 4~9(6.5)
검거세미나방 3~5(4.2) 21~38(29.6) 14~24(17.5) 2~10(5.2)
거세미나방 5~7(5.6) 33~47(38.2) 19~42(27.3) 2~11(5.7)
 
주) ( )내는 평균
검거세미나방은 1년에 3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월동한 유충은 봄에 작물을 가해하다가 성충이 된다. 제 1화기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 2화기 8월 중순, 3화기는 9월 하순이다.
거세미나방은 연 2~3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월동한 유충은 작물을 가해하다가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 기간은 27일 내외이다. 성충 발생최성기는 1화기가 6월 중순, 2화기와 3화기는 8월 중순, 10월 상순이다.